정부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초연결 스마트소재 등 30대 미래소재 원천 기술을 확보한다. 고위험·장기 연구개발(R&D)에 드는 비용은 정부가 전액 부담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운영위원회에서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을 심의하고 확정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100여명 전문가 그룹 도움을 받아 30대 미래 소재를 선정했다. 초연결 사회를 위한 스마트 소재 8개, 초고령 건강사회를 위한 웰니스 바이오 소재 9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변화 대응 소재 5개, 재해·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안전 소재 8개를 선정했다.
이들 소재 원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중장기 R&D 투자 전략을 수립했다. 실패 위험이 높고 장기 연구가 수반되는 소재 개발은 정부가 연구비 전액을 지원한다. '미래도전 공공지원제(퍼블릭형)'이 원칙이다.
미래소재 가치를 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이 협업하는 '미래가치 사전공유제(멤버십형)'도 병행한다. 연구자는 선 기획연구를 통해 아이디어와 연구 목표를 명확히 하고 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퍼블릭형과 멤버십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가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 전략을 마련한 것은 소재가 신산업 창출과 혁신기술의 기반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원천소재는 상용화가 오래 걸리고 성공 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한 번 개발하면 장기 시장 선점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도 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국가 역량을 집중한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응용·개발 연구에 집중 투자해 경쟁력을 높였지만 기초·원천 연구 투자는 미흡했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소재 분야 전문가로 '미래소재연구협의회'를 구성하고, 미래전망 및 산업체 수요 등 의견을 수렴하여 R&D 로드맵을 2년 단위로 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