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 내 중국 통신 장비 판매 억제를 위한 행정 명령 발동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지속적으로 지적해 온 국가 안보 위협 때문으로 분석된다. 행정 명령이 현실화되면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한층 심화될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일(현지시간) 미 행정부의 중국 통신 장비 판매 억제에 대해 “아마 수주 내에 행정 명령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면서 “최종 결정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WSJ은 미국 정부와 거래하는 기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기업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지 못하게 억제하는 것이 검토 방안 중 하나일 것이라고 전했다. 행정 명령 검토 논의는 중국 대표적인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와 ZTE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내에서는 화웨이와 ZTE 등 중국 업체 휴대 전화와 통신장비의 해킹 혹은 스파이 행위 우려가 꾸준히 제기됐다.
또 WSJ는 미 국방부가 미국은 물론 세계 미군 기지에서 중국 화웨이와 ZTE 휴대전화 판매를 금지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데이브 이스트번 국방부 대변인(소령)은 이날 성명에서 “화웨이와 ZTE 기기는 장병과 정보, 임무에 용인할 수 없는 위험을 노출할 수 있다”면서 “미군기지 판매점에서 이들 기기를 판매하는 것은 신중하지 못한 것”이라고 밝혔다. 미 국방부는 이들 업체 기기를 사용하면, 장병은 물론 기지 위치가 노출될 가능성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미국의 대 중국 통신장비 기업에 대한 제재 조치가 잇따랐다. 미 상무부는 지난달 대북 및 대 이란 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ZTE에 대해 7년간 미국 기업과 거래를 못 하도록 제재했다. 미 법무부도 화웨이에 대해 대 이란제재를 위반했는지 조사중이라고 알려졌다.
미 중앙정보국(CIA)을 비롯한 6개 정보기관 수장은 2월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서 해킹 가능성 등을 우려하며 화웨이와 ZTE 제품을 사용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톰 코튼과 마코 루비오 등 공화당 소속 두 상원의원은 화웨이나 ZTE의 통신장비를 구매하거나 임차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이러한 제재 분위기 속에서 미 이동통신사 버라이즌과 AT&T, 미국 최대 가전제품 소매업체인 베스트바이 등은 화웨이와 제휴 계획을 포기한 바 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