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쇼핑 업계가 '옵션가격'과 전쟁에 나섰다. 시장 경쟁이 격화되면서 배송비 등을 제외한 가격을 실제 판매액처럼 노출하는 판매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온라인 업계는 옵션가격 억제 정책을 잇달아 마련하면서 쇼핑 편의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6월부터 '스마트스토어' 입점 판매자의 옵션가격 추가금액을 제한한다. 일부 판매자가 지나치게 많은 상품 옵션가격을 설정해 고객 쇼핑 경험에 악영향을 준다고 판단했다.
옵션가격은 상품 검색 화면에 노출된 상품 이외 별도 조건을 선택하면 추가 요금을 더하는 형태다. 가격비교 서비스에 노출된 가격을 보고 상품 페이지에 접속하면 색상이나 디자인에 따라 가격이 추가된다. 옵션가격은 포털 가격비교 서비스에서 검색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가 직접 상품 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한다. 소비자들이 옵션가격을 꼼수 마케팅이라고 지적하는 이유다.
네이버는 기준 상품 판매가격에 따라 추가할 수 있는 금액 한도를 설정한다. 2000원 미만 상품은 최대 100%까지 설정 가능하다. 2000원 초과 1만원 미만 상품은 -50%에서 +100%까지, 1만원 이상 상품은 ±50%까지 금액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가격 5만원 청바지 페이지에서는 최대 7만5000원 상품까지 판매할 수 있는 셈이다. 검색 결과가 실제 판매 제품 금액 차이를 줄여 고객 이탈을 방지하는 정책이다.
주요 온라인쇼핑 업체는 최근 옵션가격을 폐지하거나 설정 폭을 줄이는 정책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옵션가격을 과도하게 추가하면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검색만으로는 정확하게 찾기 어렵다. 불편함으로 인해 고객이 해당 판매 채널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베이코리아는 지난해 '원 아이템, 원 리스트(One item, one list)'를 위한 새로운 상품 등록 솔루션 '상품 2.0'을 도입했다. 상품 하나에 검색 값 하나를 노출하는 판매 정책이다.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판매가격 노출 방법을 단순화해 쇼핑 편의를 강화한다.
SK플래닛 11번가도 단일상품 등록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입점 판매자는 제품 색상, 크기 등 최소 옵션으로 상품을 등록하는 형태다. 구매자 상품 검색 시 모델명, 브랜드, 카테고리 및 상품명 기준으로 결과를 노출해 보다 간편한 쇼핑 환경을 제공한다.
온라인쇼핑 업계의 옵션가격 축소 움직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각 업체 별 취급 상품 수가 수천만개에 달하는 상황에서 상품 정보를 효과적으로 노출하는 서비스가 핵심 마케팅 포인트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온라인·모바일 쇼핑이 대중화되면서 단순히 최저가를 강조하는 시대는 끝났다”면서 “각 업체가 최신 소비 트렌드에 적합한 판매 정책을 속속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석 유통 전문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