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인호 블록체인학회장 "블록체인 특구 지정, 정부 나서야 할때"](https://img.etnews.com/photonews/1805/1074348_20180523142242_913_0002.jpg)
“인천 송도는 금융 중심지, 부산은 물류, 오산은 의료정보 집적지입니다. 각 지역이 보유한 인프라를 블록체인과 연계해 '블록체인 특구'를 조성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합니다. 언제까지 기술발달에 뒤쳐진 뒷다리 잡는 규제만 할 것인지 유감스럽습니다.”
25일 고려대 블록체인연구소 출범에 앞서 인호 블록체인학회장(고려대 컴퓨터공학과 교수)은 전자신문 인터뷰를 통해 정부 자율규제와 블록체인 특구 지정 필요성을 역설했다.
인 학회장은 “이제 국가 차원에서 블록체인 큰 그림을 그려야 할 때”라며 “규제와 진흥책을 어떻게 수립할지, 구체적인 정의를 매듭지어야할 시기”라고 설명했다. 투자자보호와 투기 방지 등도 중요하지만 현재 한국 블록체인 규제는 기술발달을 따라가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블록체인 관련 기술이 시속 100㎞ 속도로 달려가는데, 정부 규제는 30㎞에 머물고 있다고 부연했다. 차라리 시속 70㎞ 자율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암호화폐 투기 등 부정적인 요소만을 볼게 아니라 한국 내 선진 인프라를 보유한 지역과 연계한 블록체인 특구를 조성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 학회장은 “이제는 주요 지역 인프라를 블록체인산업과 연계시키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핀테크 파이프라인 역할을 담당하는 창조경제센터를 블록체인 창업센터로 업그레이드해 맞춤형 일자리 창출 기능 등을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업계가 단합해 투자자보호 등 민감한 문제를 먼저 대응하고, 암호화폐공개(ICO)를 무조건 금지하기 보단 기업 암호화폐 공개(리버스ICO) 등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빗장을 열어야 할때”라고 강조했다.
최근 논란이 된 삼성증권 유령주식 사태도 대안은 블록체인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뷰]인호 블록체인학회장 "블록체인 특구 지정, 정부 나서야 할때"](https://img.etnews.com/photonews/1805/1074348_20180523142242_913_0003.jpg)
그는 “주식을 블록체인 코인 등으로 치환할 경우 소유권 이전이 쉽고 이를 세계에서 사고파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다양한 코인 가치를 어떻게 산정하고 분류하느냐의 문제가 발생한다.
인 학회장은 “블록체인 연구소는 별도 평가위원회를 만들어 암호화폐가 제대로된 기술로 구현됐는지, 비즈니스 모델이 맞는지 평가 기준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라며 “코인 백서에 있는 내용이 일치하는 지 여부도 세부 기준을 만들어 분석하고, 코인 사각지대에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행 규제가 지속될 경우 해외 구글, 페이스북에 한국 개인 정보가 상당부분 가있는데, 정보 뿐 아니라 이젠 우리의 지적재산권과 콘텐츠, 막대한 돈까지 외국계 기업으로 넘어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해 전세계 1분기에만 4조원의 돈이 블록체인 시장에 모여들고 있는데, 한국은 들어오려는 외국자본은 막고 나가려는 암호화폐 기업과 돈은 막지 못하는 사태가 지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