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이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손을 떼고 있다. 지난해 전담 대기업 지원금은 2015년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혁신센터는 출범 초기 지방 스타트업 벤처 창업 플랫폼 역할을 했지만 갈수록 외면 받고 있다. 전국 17개 혁신센터는 지원 예산이 급감하면서 사업비 부족으로 허덕이고 있다.
6일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7개 혁신센터가 전담 대기업으로부터 받은 기부금 총액은 125억1500만원이었다. 2016년 255억4200만원에서 반 토막이 났다. 2015년 327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에 그친다.
대구와 경북 혁신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삼성과 전북혁신센터를 맡고 있는 효성만 기부금을 줄이지 않았다. 나머지 기업은 모두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지난해 기부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한 혁신센터도 5곳에 이른다.
올해 상황은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익명을 요구한 A 혁신센터장은 “현재까지 기부금을 받은 곳이 서너 곳에 불과하다”면서 “혁신센터에 배치한 직원까지 철수시키는 곳이 많다”고 말했다.
혁신센터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같은 기간 사업비가 크게 줄었다. 국비 지원액이 1년 새 절반 가까이 깎였다. 지난해 657억원에서 올해 377억원으로 감소했다. 6개월 챌린지 플랫폼을 포함한 지방 창업 특화 사업이 일몰 기간 종료로 마무리된 가운데 후속 사업 예산 확보에 실패한 결과다. 기본 사업비도 39억원 축소됐다.
혁신센터는 2014년 말부터 1년여에 걸쳐 순차 설립됐다. 전담 대기업과 매칭을 이뤄 스타트업을 지원한다. 지난해 말 기준 창업 기업 2483개사를 키웠다. 이들 기업은 5789억원 상당 투자금을 유치했다. 전체 매출은 4684억원, 신규 채용은 4282명 규모다.
정부는 지난해 말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혁신센터 역할을 지방 창업 허브로 재조정한다고 밝혔다. 전담 대기업에 대해서는 사업 참여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자율권을 부여했다.
정부 관계자는 “혁신센터 고유 사업 예산은 줄었지만 중소벤처기업부와 연계한 다양한 사업이 펼쳐지고 있다”면서 “전체 예산을 늘리기 위한 노력도 병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규환 의원은 “정부 노력만으로는 지역별 창업 생태계를 키워 나가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스타트업 육성에 뜻을 함께하는 선배 기업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 기부금 현황(단위: 백만원, 국세청 세금 신고액 기준)
(자료=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실 제공)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