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댓글조작 확대가 우려된다. 이번에는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다.
국내 동영상 시장을 평정한 유튜브가 뉴스 서비스로 영역을 넓혔다. 문제는 유튜브 뉴스배열과 댓글순서 표시가 댓글조작 논란을 빚었던 네이버와 다음의 개편 전 방식과 같다는 점이다. 유튜브도 이를 인정했다.
유튜브에 게재되는 뉴스는 조회수 조작만 하면 최상단에 특정 집단이 원하는 뉴스를 배치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유튜브 조회수 조작 대행업체까지 등장했다. 11일 jtbc 뉴스룸 '평양고위급 회담' 뉴스는 이틀 만에 유튜브 조회수 7만5000회를 넘겼다. 3개월 전 방송한 채널A '걸그룹만 300개' 뉴스는 조회수가 50만회에 이른다. 댓글은 3000개가 넘는다.
조회수가 높거나 댓글이 많으면 해당 뉴스는 이용자 눈에 잘 띄는 곳에 게재된다. 많은 사람에게 쉽게 노출된다. 인위로 조회수를 높이고 댓글을 늘리는 공작에 무방비로 놓여 있다. 유튜브는 미취학 아동부터 초등학생, 중고생이 많이 이용하는 사이트다. 특정 집단이 자신에게 유리한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이들 대상으로 조작을 한다면 어떠할까. 끔직한 상황이다.
국내 포털과 역차별 논란도 있다. 유튜브는 KBS, MBC, SBS, jtbc, 채널A, TV조선, MBN, 연합뉴스TV, CBS 뉴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광고 수익을 얻는다. 네이버와 다음은 검색으로 유튜브를 이어주기만 한다. 방송사가 포털에 뉴스를 직접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네이버와 다음은 뉴스 서비스 사업자로 등록돼 규제를 받지만 유튜브는 받지 않는다. 외국업체여서 국내법 적용이 어렵다. 유튜브가 국내 동영상 시장 80%를 장악, 뉴스 서비스로 수익을 올리는데 국내 포털에게만 규제의 칼을 들이대는 것은 역차별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검토를 해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유튜브를 뉴스 서비스 업체로 등록시켜야 하는데 당장은 쉽지 않다는 분위기다. 신문법이 국내 언론 진흥을 위한 법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건강하고 올바른 여론 형성과 국내 업체 역차별 문제 해소를 위해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