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2년까지 바이오헬스·소프트웨어(SW)·지식재산(IP) 분야에서 민간 일자리 11만2000개를 만들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이를 위해 내년에 예산 6187억원을 투입한다.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11일 서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7차 일자리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바이오헬스·SW·IP 분야 일자리 창출 대책을 논의, 의결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2022년까지 관련 일자리 4만2000개를 창출하고, 창업 기업 900개 확대와 우수 전문 인력 1만명 양성을 추진한다.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활용, 정밀·재생 의료 등 미래 신기술을 육성한다. 이를 위해 내년도 예산으로 1881억원을 편성했다.
바이오헬스 분야에선 창업 지원과 기술 인력 양성에 주력한다. 보건복지부가 바이오헬스 벤처창업 전 과정을 지원한다. 신약개발과 글로벌 진출에 도전하는 바이오헬스 기업에 투자하는 1000억원 규모 펀드도 조성한다. 복지부는 인공지능·IT기술을 활용해 후보물질 발굴, 임상시험 등 신약개발 과정을 혁신하고 융·복합 의료기기와 항노화 기술 등 화장품 신기술 개발에 투자도 늘린다. 관련 일자리를 2022년까지 18만6000개로 늘리는 게 목표다.
SW 분야 일자리 불일치 해소를 위해 2022년까지 관련 일자리 2만4000개를 새롭게 마련, SW 실무 인재 4만명을 양성한다. SW 고성장 기업 100개를 육성하기 위한 집중 지원 체계도 구축한다. 내년도 예산으로는 2900억원을 책정했다.
핵심 인재 양성을 목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프랑스 에꼴42 사업에서 착안한 '이노베이션 아카데미(가칭)'를 내년 설립한다. 교육 대상은 전공·학력·국적 등 제한 없이 선발된 SW인재다. 이곳에서 SW역량 기반 미래형 창업인재를 연간 500명 수준으로 양성한다. 세계적 인공지능(AI) 선도연구자 양성 위한 AI 대학원을 내년 3곳 신설한다. SW분야 최고 연구실인 'SW스타랩'도 내년에 추가로 7곳 확대한다. 내년 창의도전형 고급인재 'SW마에스트로'와 리더급 화이트해커 '차세대 보안리더'를 올해보다 40~50명 늘린 150명과 200명씩 선발한다. SW 고성장기업도 발굴해 지원한다.
정부 부처는 취업연계형 IP 기반 인재 양성 사업을 통해 2022년까지 직접 일자리 1만1000개, 간접 일자리 3만5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특허, 디자인 등 IP 분야 청년 인재를 양성해서 일자리를 늘려 나간다는 방침이다. IP 분야에는 내년에 예산 1406억원을 투입한다.
특허청은 '취업연계형 지식재산 인재양성 사업'으로 6200개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 기업-대학-학생간 3자 협약을 체결, 대학이 지식재산 교육을 제공한다. 기업은 자격증 취득 등 일정 조건을 갖춘 학생을 채용한다.
발명·특성화고 지정도 12개로 확대하고 학생 대상 지식재산 교육과 기업 연계 취업 프로그램을 운영해 고졸 청년 일자리 2100개를 만든다. 현재 운영 중인 발명교육센터를 늘리고 지역 아동 교육 전담 인력 충원과 전국 5대 광역 거점에 발명 교육통합 지원센터를 새롭게 구축해 관련 일자리 400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정부가 발주하는 특허 선행기술 조사 물량의 민간 점유율도 50% 이상으로 확대한다. 특허 분석 일자리 200개를 만들기로 했다. 미취업 대졸자, R&D 퇴직 인력 등을 지식재산 조사·분석·전문 인력으로 교육·양성하고 지식재산서비스 업체 1000명 채용과 연계한다. 모태펀드·민간자금으로 8000억원 규모 IP기반 중소·벤처기업 투자 펀드를 조성·투자해 5600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6~7차 회의에서 마련되는 일자리 수 20만개, 8~9차 회의에서 30만개를 합쳐 총 50여만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부위원장은 “오는 4분기 이후엔 고용 사정도 다소 개선될 것”이라면서 “내년 1분기가 되면 일자리 창출 효과가 일정 정도 현실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etnews.com,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 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 장윤형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wh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