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현대·기아차, SK하이닉스, LG화학, 포스코 등 8개 대기업이 협력 기업 동반 성장을 위해 6조2000억원을 조성·지원한다. 동반성장위원회가 추진하는 임금 격차 해소 운동에 대기업 위원사 전원이 참여, 사회 합의를 끌어냈다. 중소·중견기업 임금 문제를 개선해서 일자리, 저출산 등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물꼬를 튼다는 취지다.
동반위(위원장 권기홍)와 동반위 8개 대기업 위원사는 10일 쉐라톤서울팔래스호텔에서 협력기업과 함께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을 통한 임금격차 해소 협약'을 체결했다.

임금 격차 해소 운동은 올해 2월 취임한 권기홍 동반위원장이 전면에 내세운 중점 사업이다. 제4기 동반위 성격을 '격차해소 동반위'로 규정했다.
매력적인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이 중소기업 구인난 및 청년 실업 등 일자리 미스매치, 인구 절벽 등 사회 현안을 해결하는 첫 단계라는 설명이다.
권 위원장은 “임금 격차 해소는 우리 사회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필요 조건”이라면서 “적어도 올해는 임금 격차 해소 운동에 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약에 참여하는 대기업은 앞으로 3년 동안 경영안정금융에 4조1479억원, 임금지불능력 제고에 1조7177억원, 임금 및 복리후생에 3462억원을 각각 지원한다. 올해 정부가 투입하는 일자리 안정자금 60% 규모다. 지원 내역 가운데 이미 발표됐거나 집행된 금액도 포함됐다.
4월 동반위 의결 이후 6개월 협의를 거쳐 8개 대기업이 합의서에 공동 서명했다. 민간이 사회 합의를 도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협약 참여 대기업은 거래 대금 단가 결정과 지급 등의 상생 협력 방안 준수에도 합의했다. 최저임금 인상, 원재료·부품 등 시가, 적정 관리비 및 이익 등을 합당하게 반영해 협력사와 협의하고 거래 기간에 단가 변경 사유도 신속히 상호 협의해 반영한다. 대금 지급 역시 최대한 앞당기고, '상생결제' 비율도 확대한다.

동반위는 임금 격차 해소 운동 확산을 위해 대기업 1차 협력 기업 참여도 협약에 규정했다. 우선 1차 협력 기업은 2차 및 3차 협력 기업 거래에서도 대금 결정, 지급 시기와 방식 등 대기업 이행 사항을 동일하게 준수한다. 연구개발(R&D) 및 생산성 향상 등 혁신 노력 강화로 협약 대기업 제품·서비스 품질 개선과 가격 경쟁력을 향상한다. 이와 함께 임금 및 복리후생 증진 등 임직원 근로 조건 개선, 신규 고용 확대에 노력한다.
동반위 역시 우수 사례를 적극 홍보하는 한편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협약 당사자 간 정기 점검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대기업과 공기업 참여를 추가로 끌어내 연내 참여 기업 20개 달성이 목표다.
권 위원장은 “8개 대기업 위원사에 국한하지 않고 동반 성장을 위해 힘쓰고 있는 대기업, 중견기업 및 일부 공기업도 올해 안에 임금 격차 해소 협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기업 지원과 더불어 협력기업 생산성 향상, 연구개발 등 혁신 노력이 병행될 때 수평적·혁신적 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고 우리 산업 전체 경쟁력이 강화된다”면서 “대기업, 중소기업 등 경제 주체 모두가 힘을 모아 나가자”고 당부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