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한 조속히' 개최하기로 했던 2차 북미정상회담이 다음달 6일 미국 중간선거 이후 열릴 전망이다. 북미 간 비핵화 '빅딜'은 최소 한 달 뒤에야 공식화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2차 북미정상회담은 11월 6일 중간선거 이후 열릴 것”이라며 “회담 일정을 조율하기에 선거 유세가 너무 바쁘다”고 밝혔다.
그간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을 계기로 2차 북미정상회담이 곧 열릴 것으로 관측됐다. 폼페이오 장관은 스티브 비건 특별대표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만나서 2차 정상회담 시기와 장소를 정할 것이라고 밝혔고, 이어 비건 특별대표도 평양 방문 직후 최 부상에게 만나자는 서한을 보냈다고 공개했다. 이에 따라 미 중간선거 이전에 2차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전망이 쏟아졌다. 하지만 최선희 부상은 비건 특별대표 요청에 아직 답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중간선거 이후'라고 못 박은 데 대한 배경도 관심이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나더라도 중간선거에 크게 도움이 될 만큼 획기적 결과를 내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의 평양 방문에 대해 미 언론과 전문가 평가가 긍정적이지 않다는 점도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미 언론은 전문가를 인용해 풍계리 핵실험장 사찰이 “같은 물건을 두 번 판 셈”이라며 비판했다.
2차 정상회담은 이르면 11월 중순이지만 상당기간 더 늦춰질 가능성도 제기됐다.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크게 패할 경우 동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로선 전망이 쉽지 않지만 선거에 패하더라도 부정적으로만 보진 않는다”며 “오히려 정치 위기 돌파 수단으로 2차 정상회담 중요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장소에 대한 관심도 높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2차 정상회담 장소에 대해 싱가포르를 배제하면서 “3~4곳이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과 평양을 비롯해 트럼프 대통령이 소유한 플로리다 주의 마라라고 리조트, 미 대통령의 전용 별장 '캠프 데이비드' 등이 거론된다. 제3국으로는 오스트리아 수도 빈, 스위스, 서울 등이 회담 후보지로 꼽힌다.
앞으로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까지 한 달여 이상 기간이 남은 만큼 북미 간 협상도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연내에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예정됐다. 연말까지 남·북·미를 중심으로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주변국까지 포함해 한반도 정세가 크게 요동 칠 전망이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
공동취재 전지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