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암치료 과정 광음향 현미경으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암치료 과정을 광음향 현미경으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포스텍(총장 김도연)은 김철홍 창의IT융합공학과 교수팀이 살아있는 조직의 작은 혈관이나 세포들을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광음향 현미경(PAM)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암 치료는 외과 수술이나 방사선, 1세대 항암제 투여 등의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암만 공격하는 표적치료제나 암이 만든 신생 혈관을 파괴하거나 혈관 형성을 막는 등 약물을 통해 보다 안전하게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암치료 과정을 광음향 현미경으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김철홍 포스텍 창의IT융합공학과 교수.
암치료 과정을 광음향 현미경으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김철홍 포스텍 창의IT융합공학과 교수.

김교수 연구팀은 살아있는 몸에서 미세한 혈관을 관찰할 수 있는 광음향 현미경으로 작은 모세혈관까지 선명하게 관찰했다. 싱가포르 과학기술청과 협력해 뇌종양에 걸린 쥐에 종양과 연결된 신생 혈관을 억제하는 약물을 투여한 뒤 광음향 영상 기술을 통해 관찰했다. 그 결과 약물에 의해 혈관이 억제되고 회복되는 모습을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김철홍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신뢰성 높은 약물의 효과를 검증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이 기술이 암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