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첫 한국형발사체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자체 발사체 기술 보유국 진입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한 한국형발사체 '누리' 시험발사체가 점화 후 151초 동안 연소해 엔진 연소 목표치인 140초 이상을 달성했고, 엔진이 종료된 시점에 75㎞ 고도까지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발사체는 엔진 연소 종료 후 관성 비행으로 발사 후 319초 경 최대 고도인 209㎞에 도달했다. 이후 포물선형 비행궤적을 따라 나로 우주센터에서 429㎞ 떨어진 제주도 남동쪽 공해상에 낙하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차관은 이날 오후 5시에 실시한 결과 브리핑에서 “우리 기술로 개발한 발사체 엔진 성능을 성공적으로 검증했다”면서 시험발사 성공을 선언했다. 이로써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개발을 위한 준비가 차질 없이 진행중인게 확인됐다. 발사체 핵심기술이자 개발 난이도가 가장 높았던 75톤급 엔진을 검증했다.
이번 시험발사체 발사는 국내에서 개발한 75톤급 액체 엔진 데뷔 무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시험발사체에 실린 엔진은 순수 우리나라 기술로 일군 성과다. 성과를 입증하면 75톤 기준으로 미국, 러시아, 프랑스, 일본, 중국, 인도에 이어 7번째 기술 보유국이 된다. 엔진은 2021년 발사 예정인 누리에 활용된다. 전체 3단 구조에서 1~2단에 쓰인다. 2단은 엔진 한 기를, 1단은 엔진 네 기를 엮어 사용한다. 이후에도 우리나라 엔진 개발의 기본형이 된다.
엔진은 우리나라가 세계 발사체 시장에 진입하는 발판이 된다. 미래 우주 개발 산업을 견인할 원동력이다. 그동안 '왜 시험발사체 발사가 필요하냐'는 의문도 있었다. 우리 손으로 우주 개발 산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했다. 엔진을 외부 도움 없이 개발하는 만큼 성능검증을 위한 시험발사는 피할 수 없는 과정이다.
항우연은 그동안 총 100회, 누적연소시간 8326초 동안 엔진을 시험하면서 이번 시험 발사 성공을 준비했다. 2010년부터 개발에 착수, 제작 엔진만 10기에 이른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독자 개발을 하다 보니 어려움이 많았지만 결국 엔진 성능을 확인했다”면서 “조금만 기다려주면 목표한 바를 꼭 이루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 임철호 원장은 “그동안 많은 기술문제를 해결해 왔기 때문에 앞으로 누리 개발에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며 “성공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감격해 했다.
<누리 시험발사체 발사 당일 주요 과정>
<사전 계획한 발사 후 과정>
고흥=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