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M 3D프린터, 올해 최대 규모 공급 전망...내년 생태계 더 커진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교육용으로 활용되는 적층융합제조(FDM) 3D프린터가 올해 공공시장에 역대 최대 규모로 공급될 전망이다. 초·중·고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SW) 코딩 교육 의무화 제도가 확대 시행되면서 시장이 커졌다. FDM 3D프린터가 중기간경쟁제품으로 지정된 만큼 정부가 내년 산업생태계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11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올해 다수공급자간계약(MAS) 방식으로 공공조달시장에 공급된 FDM 3D프린터는 65억원 규모로 책정됐다. 지난해 공급된 3D프린터는 36억원, 2016년에는 13억원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규모가 대폭 확대됐다. 올해 FDM 3D프린터가 역대 최대 규모로 공공시장에 공급될 전망이다.

FDM은 가열된 '노즐(nozzle)'을 활용해 재료가 압축돼 나오면서 딱딱한 층을 쌓는 3D프린팅 기술이다. 2009년 특허가 만료되면서 진입장벽이 낮아졌다. 교육용으로 활용되는 보급형 제품 등을 포함해 현재 출시되는 3D프린터에 가장 흔하게 접목되는 기술이다.

SW 코딩 교육 의무화 제도가 확대 시행되면서 공급 규모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올해까지 초등학교 1~4학년과 중·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SW 코딩 교육을 의무화했다. 내년에는 초등 5·6학년과 중·고등학교 2학년을 의무화 대상을 확대한다. 이에 맞춰 일선 학교에서 SW 코딩 교육에 필요한 3D프린터를 일선 학교에서 미리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 공공조달시장에서 FDM 3D프린터 비중도 늘었다. 조달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공공시장 전체 계약 중 MAS 계약으로 공급되는 FDM 3D프린터 비중은 공공시장에 공급되는 전체 3D프린터의 19.0%에 불과했다. 올해는 10일 기준 이 비율이 38.3%로 치솟았다. FDM 3D프린터가 대부분 MAS 계약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감안하면 FDM 3D프린터 품목 비중이 대폭 높아진셈이다.

정부가 내년 3D프린터 시장 생태계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SW 코딩 교육 의무화 제도를 2020년까지 확대 적용될 예정인 만큼 내년에도 올해와 비슷한 규모로 FDM 3D프린터가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FDM 3D프린터는 새해 중기간경쟁제품 제도가 첫 적용되면 시장 생태계도 대폭 달라질 전망이다.

3D프린터 업계 관계자는 “내년에도 FDM 3D프린터는 올해 못지 않게 공급이 확대될 것”이라면서 “내년부터는 이 제품이 중기간경쟁제품으로 지정된만큼 정부 시장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밝혔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