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2월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내년 금리 전망치를 기존 3.1%에서 2.9%로 하향조정했다.
내년 글로벌 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FOMC 의사록에서도 '지속적으로 국제 경제와 금융상황의 전개를 관찰하고 이들이 경제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것'이란 문구가 부활했다. 미 연준이 그때그때 경제지표에 따라 통화정책을 판단하겠다고 밝힌 만큼 금리 경로 불확실성도 커졌다.
이에 정부는 긴급대책회의를 소집하고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을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도 “내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8번을 다 관심 갖고 지켜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20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내년 점도표가 하향조정됐지만 앞으로 금리인상 경로가 생각보다 비둘기적(dovish)이지 않았다는 평가도 있다”며 “제롬 파월 의장 발언에 함축된 의미를 보면 소위 글로벌 경제 여건, 국제 금융시장 동향, 미국 경기 흐름에 따라 통화정책을 고려할 수 있다는 여지를 담고 있다”고 밝혔다.
미 연준이 경제지표에 따라 그때그때 통화정책을 판단하겠다고 밝힌 만큼 한은도 섣불리 내년 금리 경로를 예단할 수 없다는 의미다. 앞서 미 연준은 12월 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했다. 동시에 점도표를 내년 2회 인상으로 하향조정했다. 점도표는 FOMC 위원의 금리 전망을 표시한 그래프다. 지난 9월 점도표에서 내년 3회 인상을 전망했지만 3개월만에 2회 인상으로 축소됐다.
국내에선 한·미 금리 차 확대 우려가 다시 제기됐다. 한은이 1월·2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현 금리(1.75%)를 동결하고, 미국이 3월 FOMC에서 연방기금 금리(2.25%~2.5%)에서 0.25%P를 추가 인상하면 그 폭이 100bp까지 벌어지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미 연준 금리 정상화 속도가 국제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크기 때문에 미국 통화정책이 고려 요인이 되는 건 맞다”면서도 “금리가 얼마 이상 벌어지면 문제가 있고 그런 게 아니기에 계속 지켜보겠다”고 답했다.
같은 날 정부와 관계기관은 이호승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도 당장 외국인 자본이 유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은과 의견을 같이 했다. 다만 미·중 갈등, 브렉시트 등 글로벌 경기 리스크 요인을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호승 제1차관은 “연준이 금리전망을 하향조정한 것은 미국 경제 성장세 둔화를 반영하는 측면이 있어 향후 글로벌 경기 상황을 주의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국내외 금융시장과외국인 자금 유출입 동향을 면밀 점검하고, 시장불안에는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