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이나 당뇨 환자는 암에 걸리면 항암제가 잘 듣지 않습니다. 재발이 빈번하고 사망률도 높지요. 비만, 당뇨와 암의 연결고리를 찾으면 보다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박지영 UNIST 생명과학부 교수는 '엔도트로핀'을 매개체로 비만, 당뇨와 상관 관계가 높은 유방암, 자궁내막암, 간암을 집중 연구하고 있는 바이오의생명 과학자다.
박 교수는 “비만이나 당뇨 같은 대사성 질환이 있는 암환자는 기존 화학요법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암세포와 주변 세포를 동시에 제어하는 '환자 맞춤형 항암제' 개발이 목표”라고 말했다.
비만과 당뇨는 암을 유발하고 악화시키는 고질병이다.
박 교수는 2012년 '엔도트로핀(ETP)'이라는 요주의 물질을 처음 발견했다. '엔도트로핀'은 세포외기질 단백질인 제6형 콜라겐에서 특이하게 잘려져 나온 신호전달물질로 비만이나 당뇨가 있는 지방세포에서 많이 발현돼 세포를 딱딱하게 만드는 '섬유화'와 염증을 키운다.
박 교수는 엔도트로핀이 비만 지방세포에서 크게 늘어나 유방암 전이, 항암제 내성 등 악영향을 미치고, 당뇨병의 한 원인으로도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악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간암과의 상관관계를 추적, 엔도트로핀이 간 손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간세포'와 '비 간세포'의 상호작용에 관여해 간암을 촉진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엔도트로핀에서 나오는 신호는 간세포를 파괴했고, 죽은 간세포에서 나온 물질은 비간세포와 상호작용해 염증을 유발, 간 조직을 딱딱하게 만들었다. 박 교수는 “엔도트로핀에서 나온 신호를 시작으로 '간 세포사멸-섬유화-염증화'라는 악순환이 생기고, 만성 간질환과 간암으로 이어졌다”면서 “엔도트로핀 활성을 억제하는 치료용 항체를 개발해 사용하면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간은 손상되거나 병에 걸려도 증상이 없는 '침묵의 장기'다. 이런 간 조직에서 엔도트로핀이 많이 발현돼 간염에서 간섬유화, 간경화까지 진행되면 더 이상 손쓰기 어렵다. 그는 “간암으로 발전하면 간 조직의 80~90%를 제거해야 하고 재발 가능성도 매우 높다. 현재로서는 간염이나 간섬유화 단계에서 신속히 치료해 간암으로 번지는 것을 막는 게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엔도트로핀과 만성 간질환의 상관관계를 밝힌 이 연구는 효과적인 간질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높여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박 교수는 “지난 100년간 많은 연구자들이 암을 연구했지만 정복하지 못했다. 최근 들어서야 암세포와 주변 세포와의 상호작용 연구가 중요하다는 걸 인식해 관련 연구도 활발해졌다”면서 “암 세포와 주변 세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치료기술과 환자 맞춤형 표적 암 치료제를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
임동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