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문재인 대통령 취임 600일 공식일정 빅데이터 분석 '경제 홀대' '북한 우선'

자유한국당이 27일 문재인 대통령 일정을 빅데이터 분석해 발표했다. 대통령이 △언제 △어디서 △누구와 △무엇을 △어떻게 하였는지 빅데이터 정량화를 최초 시도했다.

경제현장 목소리 청취 일정은 18회에 그쳤다. 반면 북한 일정은 33회로 많았디.

외교부 장관을 약 100차례 만날 동안 경제부처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각각 53회, 65회에만 봤다.

자유한국당이 27일 발표한 문재인 대통령 취임 600일 공식일정 빅데이터 분석
자유한국당이 27일 발표한 문재인 대통령 취임 600일 공식일정 빅데이터 분석

박성중 한국당 의원과 여의도연구원이 공동연구해 발표한 '빅데이터로 본 문재인 대통령 600일 분석'을 보면, 문 대통령 취임 후 600일 중 160일(26.6%)는 공식일정이 없었다. 연차휴가 21일 제외한 139일은 일정이 공개되지 않았다.

한국당은 문 대통령이 대선후보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 업무시간은 365일, 하루 24시간이다. 업무시간과 직무수행과정을 국민께 소상히 알려야 한다. 내가 대통령이 되면 어느 시각에 어디에서 누구와 무엇을 했는지 24시간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공개일정 2144건 중 1784건(82.2%)는 참석자가 비공개된 일정이었다. 참석자가 공개된 일정 상당수는 '약식' 공개였다.

박성중 의원은 빅데이터로 본 문 대통령의 일정 특징에는 5가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첫 번째는 청와대 여민관 '방콕' 대통령”이라며 “전체 일절 중 55%인 1181건이 여미관이었다”면서 “공개일정 75%(1611건)도 청와대 내부였으며 출입이 제한된 관저 보고도 102건에 달했다”고 말했다.

두 번째는 '현장은 못가도 북한이 먼저다!'라고 규정했다. 경제 현장 목소리 청취 일정은 단 18건에 불과했으나 북한 일정은 33건이나 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여수 수산시장(17.10.26), 거제 조선소(18.1.3) 등 문 대통령의 경제현장 방문은 총 18건이라며 “소득주도성장, 최저임금인상, 근로시간 단축, 소상공인 폐업으로 현장 민생이 초토화되는 동안 문 대통령은 경제 현장에 없었다”고 말했다.

경제 장관들(산업부 65회·기재부 53회)보다 강경화 외교부장관(참석자 1위·총 97회)을 더 많이 만나 소통했다고 덧붙였다. 소상공인과의 만남도 단 3건(소상공인연합회 회장 1회·소상공인대표 2회)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세 번째는 '내부보고만 받는 대통령'이라고 했다. 전체 보고 중 청와대 보좌진에게 53%(1153건)을 받았고, 그 중 비서실 보고가 763건(66%)을 차지했다고 전했다.

네 번째는 '식사회동 없는 대통령'이라며 취임 600일 동안 총 1800끼니 중 100회만 식사 회동을 했다고 분석했다.

마지막 다섯 번째는 '정책현장 일정 찾아보기 힘든 대통령'이라고 규정했다. 재난 현장 방문은 3회에 머물렀고, 미세먼지 대책회의도 단 1회에 그쳤다고 했다. 국내일정 230건 중 교육현장 방문 단 3건이며 지난해 10월 '유치원 비리' 사건 이후 불거진 대란에 대한 대통령 현장방문 일정은 한 건도 없었다.

자유한국당이 27일 발표한 문재인 대통령 취임 600일 공식일정 참석자 관계 네트워크
자유한국당이 27일 발표한 문재인 대통령 취임 600일 공식일정 참석자 관계 네트워크

박 의원은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을 만난 일정도 86회로 전체 일정의 4%에 그쳤으며, 제1야당인 한국당 단독회동은 단 한차례였다”고 말했다. 그마저도 대다수 만남이 여당 의원에 치우쳐져 있어 다양한 국민 목소리를 듣는 것엔 한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고 부연했다.

반면 다수의 연예인은 문 대통령을 만났다고 했다. 가수 레드벨벳과 윤도현, 이선희 등 15명, 영화배우 강동원, 김윤석 등 2명, 김형석 1명 등 총 23명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분석은 2017년 5월 10일부터 2018년 12월 31일(문 대통령 취임 후 601일간)까지의 청와대 공식 홈페이지 '공개일정' 2144건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키워드 수(숫자, 특수기호 등 의미 없는 것 제외)는 장소 4297건, 일정명 6607건, 참석자 3306건 등 총 1만4210건의 키워드 추출 및 분석했다.

안영국 정치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