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정책 빅데이터 활용해 수립…관계기관 첫 회의 가져

정부가 교육 정책 수립 때 일회성 여론 조사보다 관련 기관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해 반영한다. 교육 관련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는 자료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기존 여론조사나 공청회 같은 의견수렴은 제한적이고 일회성이어서 현장 의견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17일 관계 기관에 따르면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 산하기관장과 교육부 실·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회의'를 주재했다.

교육부가 빅데이터를 주제로 부총리가 직접 주관하는 회의를 연 것은 처음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개발원·한국교육학술정보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 등 기관장이 참석해 의견을 제시했다.

교육부는 교육 정책과 빅데이터를 크게 두 가지 축으로 연계할 계획이다. 교육 정책에 대한 이해 당사자 의견을 실시간 정확하게 파악하는 용도다. 소셜네트워크를 비롯해 다양한 통로를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그동안 정책 발표 후 여론조사 결과로 정책 수렴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내용이 뒤집히는 경우가 많았다. 빅데이터 분석 등으로 현장 의견을 파악하면 정확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교육 정책이 입안자 주관에 따라 흐르는 일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축은 교육 관련 통계의 유기적인 분석이다. 대학 정보 공시를 비롯해 방대한 정형 데이터가 있으나 모두 흩어져 있다. 종합 판단을 뒷받침하는 자료로 활용하기 어렵다. 교육부는 내부는 물론 외부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교육부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찾기 위해 실무자협의체를 구성한다. 빅데이터를 주제로 산하기관장과 실·국장이 모여 토의할 수 있는 회의를 이어간다.

빅데이터 활용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각 기관의 유기적 협력이 필수다. 기관이 보유한 민감 정보를 어떻게 공유할지 방법을 찾는 것이 관건이다.

교육 관련 기관 관계자는 “그동안 교육부가 현장 의견에 기반해 정책을 내놓아도 특정 부분만 부각돼 오해를 사는 경우가 많았고 정확한 반응을 파악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유 부총리가 빅데이터 활용을 하나의 대안으로 생각하고 방법을 찾아보자고 제안해 논의가 시작됐다”고 전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