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C+ 재선정 '지역사회 협력 성과'가 변수... 교육부 3월부터 단계평가

대학이 지역사회 발전에 얼마만큼 기여했는지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재선정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평가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2019 LINC+사업 추진계획(2단계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을 마련하면서 1단계 사업 성과를 평가하는 '정성평가' 12개 항목 가운데 '지역사회 및 기업과 산학협력' '산학협력 친화형 교육프로그램' 두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두 항목에만 100점을 배점했고 나머지 항목은 모두 50점을 배점했다. LINC+ 1단계 사업 비전이자 목표였던 '대학과 지역사회의 상생발전'에 맞춰 지역사업 협력 성과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평가는 정성평가 700점과 정량평가 300점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평가 결과 상위 80%는 2단계 사업에 곧바로 재선정하고, 하위 20%는 신규 신청 대학과 '비교평가'를 거치게 된다.

핵심이 되는 '지역사회 및 기업과 산학협력' 항목의 주요 평가 지표는 △산업체 협업센터와 지역사회 특화센터 운영 성과 △지역사회·기업과 쌍방향 산학협력 운영 성과 △지역사회·기업의 산학협력 참여 활성화 실현 정도 △지역사회·기업과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공헌 성과 등이다.

'산학협력 친화형 교육프로그램' 항목은 △산학협력 친화형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학생 취업·창업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적 △대학별 특화 융·복합 분야 인재양성 성과 등을 주로 평가한다.

한국연구재단 측에서는 “단계평가는 기존 사업수행 대학을 평가하는 것이어서 추진 실적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뒀고, 단계평가 하위 20% 대학과 신규대학을 묶어 진행하는 비교평가는 향후 계획 배점 비중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 사업 수행 대학이 산학협력 고도화형에 몰릴 것을 우려해 유형별 중복 신청은 불허하기로 했다. 그만큼 기존 수행 대학의 재선정 확률은 높아졌다.

1단계 평가와 신규 신청을 위한 접수는 이달부터 시작한다. 이달 말까지 단계평가를 거쳐 재선정 대학을 결정하고, 4월초에 비교평가를 통해 최종 55개 대학을 확정한다.

LINC+ 2단계 사업은 일반대의 경우 산학협력 고도화형이 연 2092억원(대학 당 평균 38억원),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이 연 240억원(평균 12억원) 규모다.


<LINC+사업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단계평가와 비교평가>

*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자료

LINC+ 재선정 '지역사회 협력 성과'가 변수... 교육부 3월부터 단계평가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