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경제 부가가치 유발효과 하위권..."서비스산업 육성 필요"

제조업 중심의 경제 구조로 우리나라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주요국 중 하위권에 머물렀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15년 기준년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2015년 국산품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할 때 유발한 생산 크기를 나타내는 최종수요 생산유발계수는 1.813으로 2010년(1.814)과 유사했다. 중국(2.307)보다 낮지만 미국(1.631), 일본(1.718), 독일(1.615)보다는 높았다.

최종수요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0.774로 2010년보다 0.057P 상승했다. 최종수요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국산품 1단위에 대한 최종수요가 유발하는 부가가치 크기를 나타낸다.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며 부가가치율이 오른 데다 상대적으로 부가가치 창출 능력이 큰 서비스업 비중이 확대한 영향이다.

그 중 소비 부가가치 유발계수가 0.852로 가장 높았고 투자가 0.813, 수출이 0.645로 집계됐다.

소비 부가가치 유발계수 중 민간이 0.834, 정부 0.905를 나타냈다. 투자에선 민간 0.816, 정부 0.802로 파악됐다.

2010년보다는 부가가치 유발계수가 개선됐지만 주요국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한국 부가가치 유발계수(0.774)는 미국(0.929), 일본(0.905)은 물론 중국(0.802)보다도 낮았다.

한은은 제조업 비중이 높지만 서비스업 비중은 낮은 경제 구조로 부가가치 유발계수가 생산유발계수보다 낮다고 설명했다.

한편, 최종수요 생산유발계수는 1.813으로, 중국(2.307)보다 낮았지만 미국(1.631), 일본(1.718), 독일(1.615)을 앞섰다.

최종수요 생산유발 계수는 국산품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할 때 유발한 생산의 크기를 보여준다.

투자 생산유발계수가 1.939, 수출은 1.908, 소비는 1.687을 기록했다. 소비에서는 민간(1.751)이 정부(1.503)보다, 투자는 정부(2.008)가 민간(1.923)보다 생산유발 효과가 컸다.

정부투자에서는 국산화율이 높은 사회간접자본(SOC) 등 건설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한은 관계자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주력 산업인 제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부가가치율이 높은 서비스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며 “수출·원자재 수입 대상국 다변화, 기초소재 제품 국산화, 생산기술 개발 등으로 대외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도 강화해야한다”고 제안했다.

후방연쇄효과(해당 산업이 다른 산업의 생산물을 구입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영향력 계수는 운송장비(1.320)와 기계 및 장비(1.154)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방 연쇄효과(다른 산업 생산에 중간투입물로 사용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감응도 계수는 화학제품(1.902)이 이끌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