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자동차 업종 노동생산성 둔화..."혁신 창업 지원 등 필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출 주력 산업이 밀집한 반도체·디스플레이와 자동차·선박 업종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 둔화가 뚜렷하다는 연구결과가 제기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은행이 9일 발간한 '산업별 노동생산성 변동요인 분석' 보고서(조사통계월보 3월호)에 따르면 연평균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011∼2015년 2.2%로, 금융위기 이전 2001∼2007년(7.9%)보다 5.7%포인트(P) 낮아졌다.

반도체와 휴대폰 등 고위기술 노동생산성 하락 폭은 전 산업 평균을 웃돌았다. 같은 기간 14.5%에서 6.8%로 7.7%P나 하락했다.

그 중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부품 하락 폭이 8.1%P(13.0%→4.9%), 휴대폰 등 통신·방송 장비가 7.9%P(22.1%→14.2%)를 기록했다.

중고위기술(자동차·선박·기계) 노동생산성 증가율도 이 기간 6.5%에서 0.0%로, 6.5%P나 하락했다. 그 중 운송장비(선박) 업종은 업황 부진으로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하락 전환했다. 금융위기 이전 5.4% 증가하던 생산성은 이후 4.2% 감소했다.

보고서는 노동생산성 증가율 둔화 원인으로는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둔화를 들었다.

총요소생산성이란 노동과 자본 투입량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가가치 증가분이다. 혁신기업이 출현하지 않고 노동과 자본이 비효율적으로 배분되면 총요소생산성 증가세가 둔화한다.

총요소생산성이 상위 5%에 해당하는 선도기업도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둔화됐다.

고위기술 업종 선도기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금융위기 이전 11.2%에서 이후 7.1%로 4.1%P 하락했다. 중고위기술 업종에선 -0.7%로, 같은 기간 8.6%P 낮아졌다.

선도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도 고위기술 업종에서 7.2%P 내린 2.3%, 중고위 업종에선 7.6%P 하락한 -2.5%로 확인됐다. 제조업에서 전반적으로 생산의 효율성이 나빠진 셈이다.

한은 관계자는 “선도기업 생산성 둔화는 수출 증가세 약화, 혁신 부진 때문”이라며 “후행 기업은 신규기업 진입·한계기업 퇴출이 원활하지 못해 생산성 증가율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조업 생산성 개선을 위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융합, 선도산업 발굴, 혁신 창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며 “규제 완화와 구조개혁을 통해 노동과 자본이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게 유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