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보유 현금 3년 전의 3분의2 수준...'현금없는 사회'로 한 발

우리나라가 '현금 없는 사회'로 한 발 내디딘 것으로 확인됐다. 가계가 들고 다니는 현금이 3년 전보다 3분의 2 수준으로 줄었다.

가계 보유 현금 3년 전의 3분의2 수준...'현금없는 사회'로 한 발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18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거래용 현금'(지폐) 보유액은 평균 7만8000원으로 2015년 11만6000원보다 3만8000원(33%)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2015년부터 3년 단위로 가계와 기업 대상 현금 사용 행태를 조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22일부터 12월 5일까지 가구주 1100명 방문 면접으로 진행됐다.

연령대별로 20대 보유액이 5만4000원으로 가장 적었다. 30대(6만7000원), 60대 이상(6만7000원), 40대(9만1000원), 50대(10만5000원) 순이었다. 결혼식이나 장례식 등 경·조사 비중이 높은 40대에서 현금 보유 성향이 두드러졌다.

현금이 가계 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1%로 신용·체크카드(52.0%)에 뒤떨어졌다. 현금(38.8%)과 신용·체크카드(37.4%)가 어깨를 견주던 3년 전에서 상황이 역전됐다.

그럼에도 골목상권, 전통상인 등에서는 현금 사용이 여전했다. 경·조사비를 현금으로 내는 관습도 이어졌다.

용도별 현금지출액 기준 상품 및 서비스 구입이 61.8%를 차지했다. 현금으로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장소별 비중은 전통시장(40.2%), 슈퍼마켓(24.4%), 편의점(10.3%) 순이었다. 사적 이전지출·경조금 등 개인 간 거래가 37.6%를 기록했다.

비상시를 대비해 집이나 사무실 등에 보유한 '예비용 현금'은 조사대상 가계 23.3%가 보유한다고 응답했다. 가계당 평균 규모는 54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예비용 현금도 3년 전(69만3000원)에서 크게 감소했다.

5만원권 사용 현황을 보면 설문대상 가계 89.2%가 최근 1년간 5만원권을 사용했고, 월평균 4.6회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 절반 이상이 '현금 없는 사회' 실현이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조사자 중 51.3%가 '그렇다'고 답했다. 기간별로 '중장기(35.4%)', '단기간(15.9%)'을 차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3년간 현금 보유 관련 사회·경제적 트렌드 변화를 추정하는 데 이번 조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