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80. '벤처 대부'의 가르침을 상기하자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80. '벤처 대부'의 가르침을 상기하자

지난 3일 해외 출장 길에 그분의 황망한 부음 소식을 들었다. 지난 2012년 당시 10년 만에 KAIST 캠퍼스에서 다시 만났을 때 고인의 호칭을 '회장님'에서 '교수님'으로 매우 자연스럽게 바꿨다. 후배들의 기업가 정신을 기르기 위해 모교로 돌아온 그분은 모든 학생이나 후배 기업인이 쉽게 다가오도록 교수님으로 불려지길 원했고, 더 배우고 싶어 한 나는 그 이후 약 7년 동안 편히, 또 자주 교수님이라고 불렀다. 많은 사람이 나처럼 그분을 찾았고, 고인은 늘 한결같이 변함없는 친절한 모습으로 그를 찾는 모든 기업인 후배를 대해 줬다. 많은 후배 기업인이 공감하겠지만 고인의 기억력은 탁월했다. 몇 달 만에 만나도 그분과의 대화는 정확하게 헤어진 시점부터 시작할 수 있었다. 조건 없이 주는 그분의 가르침은 많은 후배 기업인에게 캄캄한 밤에 방향을 잡을 수 있는 북극성 같은 역할을 해 줬다. 지난달 21일 KAIST IP 최고경영자(CEO) 행사에서 마지막으로 그분과 대화를 나눴다. 고인은 투자 선순환 구조에 진입한 액셀러레이터 역할에 대해 조언했고, 스톡옵션 장점을 우리사주조합과 비교해 설명했다. 그분의 생전 마지막 멘토링이었다.

고인은 1985년 우리나라 벤처업계 1세대 기업 메디슨을 창업했다. 이 회사는 1985년 초음파 진단기를 개발한 의료기기 벤처기업이다. 의료진단기 분야의 사관학교로 불린다. 의료 진단의 핵심 인력 상당수가 메디슨 출신이다. 그후 메디슨은 삼성전자에 인수, 현재 삼성메디슨이 됐다. 1995년에는 벤처기업협회를 설립해 초대회장 이후 5년 동안 회장직을 맡으며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벤처기업특별법' 제정에도 기여했다. 고인은 기업호민관으로 활동하며 중소기업 애로 사항 등을 법에 의거해 해결하고, 호민관 독립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2011년 한국디지털병원 수출사업협동조합 이사장, 2013년 사단법인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고인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해 들어 평소보다 더 많은 글을 남겼다. 지난 3개월 동안 대한민국 사회에 남기고자 한 고인의 조언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현명한 글로벌 가치사슬 대처다. 원론에 입각할 때 각국의 장점인 핵심 역량을 연결하면 모두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은 정보기술(IT) 완제품, 한국은 부품인 반도체, 일본은 원재료인 소재를 각각 만들어서 상호 협력한다. 사실상 3개국이 경쟁력 없는 완제품, 부품, 소재를 모두 만드는 것은 모두에게 손해다. 고인은 미-중 분쟁의 최대 수혜국을 한국으로 봤다. 분쟁 이후 삼성전자는 5세대(5G) 이동통신 장비 수주 글로벌 1위로 올라섰고, 중앙처리장치(CPU)와 운용체계(OS) 라이선스 제공을 ARM, 구글이 중지하면서 중국이 타격을 받은 스마트폰 산업의 최대 수혜자도 한국이 됐다. 중국 반도체 굴기가 좌절되면서 한국 메모리 산업은 탄탄대로가 열렸다. 그러나 한-일 경제 분쟁으로 천재일우의 기회를 잃을 위기에 직면했고, 최악은 미국과 일본이 반도체 대국으로 재부상할 가능성도 예측하고 이 시점에 한국이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노련한 적극 대처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둘째 규제 개혁과 4차 산업혁명 방향성이다. 고인은 '한국에서 4차 산업혁명이 죽었다'고까지 표현하며 '타다' 논쟁에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공유경제는 4차 산업혁명의 또 다른 이름이다. 공유를 통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새로운 혁신을 촉발, 사회 가치 창출과 가치 분배를 선순환하는 것이 4차 산업혁명의 본질이다. 과거 오프라인 중심의 1·2차 산업혁명 소유경제에서 공유지는 비극이었다. 그러나 3차 산업혁명이 만든 온라인 세계에서 공유지는 희극이 되면서 공유경제가 떠올랐다. 현재 5%에 불과한 공유경제는 온·오프라인연계(O2O) 경제 급증으로 2030년이면 전 세계 경제의 절반을 초과하게 된다. 공유경제가 경제 변방에서 주류 영역으로 떠오른다는 의미다. 고인은 현재 규제 개혁 적극 노력이 10년 후 한국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결정한다고 역설했다.

셋째 혁신과 도전정신 지속이다. 공유경제 도입에 따른 갈등이 곳곳에서 빚어지고 있다. 혁신에 성공하면 기존 산업이 파괴된다. 그러나 저부가 가치 산업이 파괴되고 고부가 가치 산업이 창출되는 과정에서 국가가 발전해 왔다는 것이 산업혁명의 역사임을 상기하자. 혁신은 성공을 위한 갈등 속에서 사회를 발전시킨다. 혁신의 본질은 조지프 슘페터 말대로 '창조적 파괴'다. 일자리 관점에서도 기존의 저부가 가치 일자리를 파괴하고 새로운 고부가 가치 일자리를 만드는 과정이다. 농업 일자리를 파괴해서 제조업을 만들고, 단순 제조업을 파괴해서 지식 서비스업을 만들면서 사회가 발전했다는 것이 산업혁명 이후 250년 동안 이어져 온 역사가 일깨워 주는 교훈이다. 파괴를 두려워하면 혁신은 사라진다. 파괴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바로 도전정신이다. 도전 정신을 대표하는 것은 기업가 정신이다. 고인은 생전에 청소년에게도 기업가 정신을 가르치기 위해 KAIST IP CEO 과정을 마련하는 데 중추 역할을 했다.

'낙산 해변에 쌍무지개가 떴네요. 앞 사진의 뒤편에 먹구름이 보이더니 소나기 오고 등장한 쌍무지개랍니다.' 고인이 생전인 7월 31일 마지막으로 SNS에 남긴 글이다.

현재 대한민국 상황과 미래를 은유로 표현한 것 같다. 지금 '한국 경제는 먹구름이 끼어 있고, 곧 소나기도 올 것이다. 그러나 이 위기가 지나면 쌍무지개가 등장하는 번영이 올 것이다'라는 예측으로 해석하며 이민화 교수님을 기린다.

전화성 씨엔티테크 대표이사 glory@cnt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