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주방→B2B 식품생산공장'으로 판 키운다

공유주방 먼슬리키친 내부.
공유주방 먼슬리키친 내부.

공유주방이 식품생산공장으로 변신한다. 공유주방을 식품생산공장으로 활용하게 해달라는 안건이 규제 샌드박스 신청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공유주방 음식을 기업 간 거래(B2B)로 팔 수 있는 길이 열린 지 한 달여 만에 추가 규제완화 조치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안건이 통과될 경우 공유주방은 규제완화 최대 수혜주로 떠오를 전망이다.

먼슬리키친은 오는 10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보통신기술(ICT) 규제 샌드박스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신청한다. 공유주방을 B2B 전용 식품생산공장으로 쓸 수 있게 허용해달라는 것이 골자다. 대상은 먼슬리키친이 운영하는 서울시 전역 공유주방이다.

규제 샌드박스 안건이 과기부에 접수되면 사전검토위원회를 거친다. 통과하면 규제 샌드박스 심의위원회 의결로 시범 사업 여부를 결정한다.

먼슬리키친은 기존 공유주방과 달리 공간을 대량 생산에 최적화된 자동화 설비로 채울 계획이다. 표준화된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위생과 안전이 강화될 수 있다. 설비에 따라 다품종 소량 생산도 가능하다.

위생은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춘다. 앞서 규제 샌드박스를 통과한 위쿡도 같은 기준으로 설계했다.

편의점, 식당, 백화점을 포함한 오프라인 매장에 더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판매가 이뤄진다. 먼슬리키친은 신규 시장 창출에 나설 방침이다. 우선은 제조 과정이 비교적 수월한 베이커리 및 소스 생산에 집중한다.

공유주방 입점 소상공인은 소규모 프랜차이즈 사업자가 될 수 있다. 제조 설비는 임대해 쓰면 된다. 필요한 시간 단위로도 빌려준다. 5평 남짓 공간에서 대형 식음료(F&B) 업체와 경쟁할 수 있는 셈이다.

기존 소상공인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만 대량 생산이 가능했다. 이마저도 최소발주수량(MOQ)을 맞춰야만 생산을 맡을 수 있었다. 판매 부진에 따른 폐기비용은 소상공인 몫이다.

이재석 먼슬리키친 본부장은 “공유주방이 소상공인과 상생을 통한 일자리 창출 모델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연내 두 개 지점을 추가로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위쿡이 먼저 공유주방 관련 규제 샌드박스를 적용받았다. 일반 소비자에게만 팔 수 있던 공유주방 음식에 대한 B2B 판매·유통이 가능해졌다. 지난달부터 서울 전역을 상대로 서비스에 돌입했다.

국내 공유주방 업체 수는 20여곳이다. 먼슬리키친, 위쿡을 비롯해 서울과 수도권에 15곳이 몰려있다. 올해 초 시장이 본격 열렸다. 공유주방 전체 시장 가치는 1조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