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소충전소 확대 속도...안전성·경제성 확보 숙제

환경부가 수소충전소 12곳을 추가로 구축할 민간사업자 4곳을 선정하고 정부세종청사에 충전소를 건설한다. 수소차 보급의 기본 인프라인 충전소를 빠르게 늘려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서두른다. 지역주민의 안전성 인식 개선과 충전사업자 경제성 확보는 시급히 풀어야할 숙제로 대두됐다.

국회수소충전소 조감도.
국회수소충전소 조감도.

환경부는 25일 세종청사를 포함한 전국 주요지역에 수소충전소 12곳을 추가로 구축하기 위한 민간사업자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수소충전소 구축은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확보한 예산으로 추진한다. 환경부는 사업자 공모(2019년 8월 9일~9월 17일) 및 제안서 평가를 거쳐 사업자를 선정했고, 수소충전소 구축비용의 50%(최대 15억원)을 지원한다. 선정된 민간사업자는 수소에너지네트워크(HyNet) 등 4개사로 2020년까지 10개 지역에 수소충전소 12곳을 구축한다.

이 가운데 세종청사 충전소는 지난 10일 현대자동차가 국회에 구축한 수소충전소에 이어 국가 주요시설에 구축하는 두 번째 사례다. 8개월간 설계, 설치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안전성 검사 등의 절차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준공 예정이다. 수소에너지네트워크가 세종청사 충전소를 구축·운영한다.

환경부는 세종청사 수소충전소가 완공되면 장거리를 이동하는 수소차 이용자 편의성이 높아지고, 정부청사에 방문하는 지자체·공공기관 중심으로 수소차 보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전국에 수소충전소 310곳을 구축할 예정이다. 현재 전국에서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는 30곳(연구용 7곳 포함)이다. 환경부 예산으로 전국 43곳에서 구축 중이다. 이번에 선정된 12곳 이외에도 추경을 통해 확보한 예산으로 지자체가 경기도·창원시 등 13곳에 추가로 구축할 예정이다.

수소충전소를 계획대로 늘려나가기 위해서는 먼저 풀어야할 과제가 있다. 가장 큰 걸림돌은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지역주민과 부지소유주가 수소충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부분이다.

한국수소산업협회에 따르면 수소 자체생산시설은 위험성이 있지만 고순도 수소를 사용하는 수소충전소나 수소자동차는 안전하다. 충전소는 고순도 수소를 카트리지(전용운반차량)를 이용해 도심지에 공급하기 때문에 도심지에 위치한 수소충전소는 안전관련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그럼에도 '폭발 괴담' '집(땅) 값 하락 요인' 등을 이유로 기피시설 취급을 받고 있어 인식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수소 생산·공급이 불투명해 수소충전소 구축 후 수소 확보 문제, 현재 수소충전소 경제성이 낮아 민간에서 참여를 주저하고 있는 부분도 풀어야 한다.

현대자동차 넥쏘.
현대자동차 넥쏘.

수소 생산은 정유·화학공장에서 나오는 부생수소와 액화천연가스(LNG)·액화석유가스(LPG) 추출 방법이 있다.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전해 수소 생산 방법도 있지만 기술·경제적 문제와 함께 양산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소충전소를 늘리기에 앞서 수소 공급방안을 먼저 강구해야 한다. 수소 생산·이송이 까다로운 만큼 충전소 운영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사업자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도 필요하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소충전소 안전성에 대한 오해를 개선하고 충전사업자 경제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관계부처와 산업계, 전문가 등과 마련 중이며 다음 달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