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도네시아 CEPA' 실질 타결…신남방 핵심 시장 열린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1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땅그랑에서 한국-인도네시아 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이 실질 타결 됐다고 선언하고,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과 엥가르띠아스토 루키타(Enggartiasto Lukita)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이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1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땅그랑에서 한국-인도네시아 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이 실질 타결 됐다고 선언하고,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과 엥가르띠아스토 루키타(Enggartiasto Lukita)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이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신남방 핵심 시장인 인도네시아와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실질 타결하고 내년 상반기 정식 서명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는 우리나라 12위 교역국가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신남방 지역 핵심국가다. 철강제품·자동차·합성수지 등 우리나라 주력 품목 수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6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땅그랑에서 엥가르띠아스토 루키타 인도네시아 무역부 장관과 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 간 CEPA 실질 타결을 선언하는 내용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또 연내 '한-인도네시아 CEPA'를 최종 타결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정식 서명하기로 했다.

CEPA는 상품·서비스 교역 자유화뿐 아니라 투자·경제협력 등 경제관계 전반을 포괄하는 협정이다. 교역 자유화를 추진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자유무역협정(FTA)와 같은 효과를 낸다.

'한-인도네시아 CEPA'가 발효하면 양국은 높은 수준으로 상품 시장과 서비스·투자를 개방하기로 합의했다.

우리나라는 수입품목 중 95.5%, 인도네시아는 수입품목 중 93.0% 관세를 철폐한다. 기존에는 우리나라 수입품목 중 90.2%, 인도네시아는 80.1%를 개방했었다. 우리나라는 수출 금액이 큰 주력 품목에 대해 관세를 없앴다. 열연강판(5%), 냉연강판(5~15%), 도금강판(5~15%), 합성수지(5%), 자동차 및 부품(5%) 등 관세가 없어질 전망이다.

특히 자동차 강판 용도로 쓰이는 냉연·도금·열연 등 철강제품과 트랜스미션 등 자동차부품, 선루프, 합성수지 등 주요 품목에 대해서는 발효시부터 즉시 무관세를 적용한다. 대외 개방시 민감한 우리 주요 농수임산물은 양허에서 제외했다.

'한-아세안 FTA'에 대비해 서비스 시장 개방도 확대했다. 양국은 서비스 분류기준 상 총 155개 소분야 중 각 100개 이상 양허를 제공하기로 했다. 온라인게임, 도·소매 유통, 건설 서비스 등 우리 업계 주요 관심 분야에 대한 신규 개방과 함께 외국인 투자 지분제한율을 개선했다.

특히 게임 서비스는 향후 인도네시아 내 법규범 제정시 우리 업체에게는 최소한 CEPA 양허수준 이상을 적용할 것을 보장하기로 했다. 또 양국은 '과학기술·소프트웨어(SW)·로봇' 등 분야에서 고급 전문인력이 상호 원활히 이동하도록 하는데 합의했다. '인력이동 부속서' 상 적정 교육·자격을 획득하고 계약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전문직인 '독립전문가' 분야를 상호 양허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는 인구 2억7000만명으로 세계 4위, 평균연령 29세의 젊은 인구구조를 갖춘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국가다. 최근 연 5% 이상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면서 크고 있다.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번 CEPA를 통해 2007년 체결한 '한-아세안 FTA'에 근거한 양국 간 통상관계를 몇 단계 더 높였다”면서 “신남방 핵심국가로 교역을 다변화하고 기업 입장에서는 새 성장 기회를 찾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