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이후 나노융합 분야 정부 연구개발(R&D) 및 상용화 지원 사업이 재개되면서 나노업계가 R&D 동력 상실 위기를 극복할 수 있게 됐다.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 이후 핵심 소재 개발 과정에서 나노기술(NT)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후속 사업에 속도가 붙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과 2021년부터 각각 4000억원, 1800억원 규모의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나노융합혁신제품개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노업계는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과기정통부)과 '나노융합핵심기술개발사업'(산업부)을 비롯해 양 부처 공동의 '나노융합2020사업'이 줄줄이 일몰을 앞두면서 R&D 공백을 우려해 왔다. 이에 양 부처와 관련 산·학·연이 발 빠르게 대응하고, 일본 수출 규제 조치 이후 핵심 소재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후속 사업이 속속 예비타당성(예타) 조사를 통과했다. 나노융합 R&D가 계속 힘을 받을 수 있게 된 셈이다.
과기정통부는 2031년까지 정부출연금 4004억원이 투입되는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을 내년부터 신규 추진한다. 이 사업은 나노·미래소재 원천기술 20건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한다. 내년에만 약 370억원의 신규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여기에 기존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도 인프라 활용 사업 일몰이 연장돼 내년에는 올해보다 216억원 증액된 71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예산도 올해보다 늘어남으로써 내년에 신규 연구단 3개를 추가 선정한다.
산업부는 나노융합혁신제품개발사업이 예타를 통과해 2021년부터 지원을 시작한다. 이 사업은 미래자동차, 디스플레이, 에너지·환경, 스마트홈, 바이오·헬스 등 5대 유망 신산업 분야 수요에 대응해서 기존에 없던 신기능을 구현하거나 성능을 기존 대비 30% 이상 향상시킨 나노융합 혁신제품 22개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정부와 민간 부문을 합쳐 1800억원 규모로 추진되며, 내년에 22개 과제 기획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나노제품 성능·안전평가기술 개발 및 기업지원 사업'도 내년에 시작된다. 정부 주도로 나노제품 안전성 평가 기준을 정립하고 시험평가법을 개발해 표준을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밖에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동 추진하는 나노융합2020사업 후속 버전인 '나노소재융합2030사업'도 예타 조사를 신청, 기술성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또 나노융합 제품 수요연계 사업화를 지원하는 'T+2B활용 나노융합 R&BD 촉진 사업'도 내년 일몰을 앞두고 후속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최영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탄소·나노 PD는 “나노 기술은 R&D에 성공해도 '죽음의 계곡'을 넘고 '다윈의 바다'를 건너야 드디어 상용화에 성공할 수 있다고 비유될 정도로 제품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면서 “최근 국내 나노기업 매출이 정체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중국과의 기술 격차가 6개월 수준으로 좁혀지는 등 후발국의 추격이 빨라지고 있어 나노소재 개발과 상용화에 속도를 내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
-
정현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