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과 첨단 카메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녹조 발생 정도를 예측하는 기술이 처음으로 나왔다. 녹조 발생을 우려하는 국민 불안을 한층 덜 수 있게 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원장 김명준)은 초분광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 AI로 수역 전반과 녹조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대전 내 대청호 녹조를 원격탐사하는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존에는 시료 채취와 분석 등 과정에 이틀 이상 시간이 걸렸다. 과정도 번거로워 녹조 확산 전 빠른 대응이 어려웠다.

개발 기술은 드론으로 빠르게 넓은 수역을 살필 수 있다. 녹조 이동, 확산, 분포 등 전체 현황을 한눈에 알 수 있다.
기술 핵심은 초분광에 있다. 일반 영상이 빛을 삼원색(RGB) 3종류로 구분하는 것과 달리 초분광 기술은 가시광선·근적외선 영역을 200개 이상으로 잘게 쪼갠다. 녹조가 띠는 빛 스펙트럼으로 현재 수준을 실시간 디지털화 할 수 있다.
AI로 분석해 향후 전망까지 알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 기술을 활용해 일주일 뒤 어느 지역에 조류가 대발생하는지 여부까지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으로는 관련 정부 부처와 협의해 드론 탐사 정책을 설정하고,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대청호 녹조 실시간 모니터링 맵을 구축할 예정이다. 추가로 드론 이동 경로 설정, 탐사, 데이터 수집, 입력, 분석 등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분석 성능 고도화, 센서 국산화 및 중량·크기 최소화 연구도 진행한다.
권용환 ETRI 박사는 “세계 최고 수준 조류 예측 정확도를 목표로 연구중”이라며 “다양한 상황에 맞춰 녹조 확산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