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국민은행이 새해 2월부터 차세대 주전산 시스템을 영업점에 우선 적용한다.
전체 시스템 오픈은 10월로 예정돼 있지만, 영업점 디지털 혁신을 우선 구현하기 위한 조치다. 고객 접점의 디지털 혁신을 통해 조직 전체 변화를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국민은행 '더 케이 프로젝트'는 성공적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핵심 사업이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해 혁신적 IT 인프라를 구축한다. 미래형 전산시스템을 도입해 각종 마케팅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고도화한다. 그랜드 오픈 시 마케팅허브, 비대면 채널, 글로벌 플랫폼, IT 인프라 고도화 등 전체 시스템이 완성될 예정이다.
그 첫 번째 단계로 2월 영업점의 디지털 혁신이 이뤄진다.
불필요한 업무는 최소화하고, 쉽고 빠르게 업무 프로세스가 개선된다. 디지털화를 통해 고객 편의성도 증대된다. 특히 가계여신, 외환, 퇴직연금 같은 손이 많이 가던 업무들이 디지털을 통해 슬림화되며, 단순 반복 업무는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를 통한 자동화로 업무를 대폭 경감한다.
고객 상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고객이 요청하는 여러 업무를 디지털 기술을 조합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고, 이미 도입된 디지털창구에 더해 고객이 직접 작성하는 디지털서식 항목도 대폭 간소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영업점 직원 대상으로 사전교육과 테스트에 돌입했다.
허인 은행장도 “더 케이 프로젝트 선 오픈 작업은 은행 창구업무 전산을 모두 혁신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오픈에 최선을 다하자”고 강조하고 있다.
더 케이 프로젝트는 국민은행이 추진하는 금융권 최고 수준의 디지털 혁신의 일환이다.
핀테크 기업과의 경쟁 환경에서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고 고객과 직원 모두에게 편리함과 즐거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영업현장과 본부 모든 구성원이 한마음으로 영업점 단말기 화면을 비롯한 은행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재편하는 대전환을 이뤄내겠다는 전략이다.
AI, 블록체인, 클라우드, 데이터, 에코시스템 등 이른바 'ABCDE'프로젝트도 가동한다.
그 동안 국민은행은 디지털 기반 스마트 창구, 바이오 생체인증 도입 및 비대면 플랫폼 강화 등을 추진했다. 로보어드바이저 기반 자산관리서비스 제공, 직원 업무 혁신, 디지털 플랫폼의 계속적 진화 등 전 사업부문에서 디지털 혁신을 추진해오고 있다.
[표]KB국민은행 디지털 혁신 추진 방안(자료-KB국민은행)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