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사이트] 문전일 로봇산업진흥원장 “中企에 산업용 로봇 집중 보급…렌털사업도 육성”

[人사이트] 문전일 로봇산업진흥원장 “中企에 산업용 로봇 집중 보급…렌털사업도 육성”

“우리나라에서 산업용 로봇이 가장 필요한 곳은 중소기업입니다.”

문전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은 뿌리(용접·금형·주조 등), 섬유, 식음료 등 3대 분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로봇을 집중 보급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원장은 “사람이 닭에 반죽 물과 튀김가루를 입히면 협동로봇이 고온 기름에 닭을 넣고 튀기는 시대가 왔다”며 “이처럼 협동로봇은 사람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사람이 직접 하기 어렵고 힘든 일을 대신하며 보조하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력난이 해소되지 않고 근로환경이 열악한 중소기업에서 협동로봇 등 산업용 로봇이 중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별도 펜스·매트 없이 로봇과 함께 작업해도 안전하며, 크기가 작아 다양한 곳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문 원장은 새해 지능형 로봇 보급 확산사업 예산이 기존보다 200억원 늘어난 350억원으로 책정됐다며, 이를 기반으로 민간이 주도하는 산업용 로봇시장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금융권과 로봇 펀드를 조성해 중소기업이 부담을 덜 수 있는 '산업용 로봇 렌털사업' 기반을 마련하고, 유관기관·협회 등과 협업해 협동로봇 설치 작업장 안전인증 수요를 대폭 늘리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지난해까지 안전인증을 받은 작업장은 모두 합쳐 39곳이다.

[人사이트] 문전일 로봇산업진흥원장 “中企에 산업용 로봇 집중 보급…렌털사업도 육성”

이와 함께 '재활로봇 의료보험 수가 적용'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재활로봇은 개당 1억~3억원 수준으로 고가인데, 로봇에 의한 재활치료는 별도 의료보험 수가 항목조차 없는 실정이다. 보행훈련을 수기로 치료하는 경우 의료보험 수가가 1만3000원(1회·30분 기준) 내외로 책정된 것이 전부다.

문 원장은 “재활로봇에 신(新) 의료기술이 접목됐느냐가 의료보험 수가 적용키를 쥐고 있는데, 이를 논문 등으로 입증하려면 최소 3년 정도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재활로봇은 법·제도 지원이 먼저 이뤄질 경우 세계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나갈 수 있는 대표 분야로, 수가 적용이 계속 늦어질 경우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로봇 부품 국산화'에 대한 시급성도 역설했다. 그는 국내에서 생산하는 로봇의 핵심 부품 절반 이상이 일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수입처 다변화로 일본 부품 의존도를 낮추고 궁극적으로는 부품 국산화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人사이트] 문전일 로봇산업진흥원장 “中企에 산업용 로봇 집중 보급…렌털사업도 육성”

아울러 문 원장은 “우리나라에서 연 매출 1000억원 이상을 기록하는 로봇 기업이 10곳이 안 되는 반면에 일본은 연 매출 1조원을 상회하는 기업이 10곳 이상”이라며 “히든챔피언 기업이 20~30개는 나와 줘야 국내 로봇 시장 성장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다만 우리나라 지능형 로봇 기술이 선진국에 비해 1.3년 정도로 격차를 빠르게 좁히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했다는 점은 긍정 신호로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원장은 또 “앞으로 지능형 로봇이 사회적 이슈를 풀어주는 주춧돌 역할을 할 것”이라며 “중증환자 대·소변을 받아주는 배변케어 로봇부터 노약자·장애인을 보조하게 될 웨어러블 로봇 등은 한국이 로봇 4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최재필기자 jpchoi@etnews.com

사진=이동근기자 fot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