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미래 성장유망산업, 대규모 자금 유치가 필요한 신인프라산업에 속한 기업을 대상으로 상장 진입요건을 개선한다. 제2의 삼성전자로 성장할만한 기업을 발굴해 기업 성장과 유가증권시장 활성화를 동시에 꾀하는 전략이다. 해외 직접투자가 증가한 해외 합성 상장지수펀드(ETF) 등 고수익 투자상품을 국내에서 수용하는 방안도 준비한다.
한국거래소(이사장 정지원)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0년 유가증권시장본부 사업 계획을 22일 발표했다. 시장 활력을 높이고 다양한 투자상품을 공급해 매력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거래소는 우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유망한 산업과 기업을 발굴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대규모 자금조달이 필요한 인공지능(AI), 블록체인, 5G 등 새로운 인프라산업, 헬스케어, 청정에너지 분야 기업의 상장 진입요건을 개선할 예정이다.
이미 코스닥시장에서는 기술특례상장제도에 이어 지난해 소재·부품·장비 패스트트랙 제도를 도입하는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기업의 상장 문턱을 완화했다.
임재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부이사장)은 “설령 현재 적자기업이고 유가증권시장 상장 기준에 못 미치더라도 미래 성장성을 보고 상장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을 준비하고 있다”며 “제2 삼성전자·현대차 같은 기업이 등장할 수 있도록 성장성, 계속성 등을 가늠할 수 있는 질적심사기준을 갖추고 코스닥시장본부와도 논의해 구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증가하는 해외 직접투자 수요를 국내에서 수용하도록 다양한 글로벌 투자상품도 확대 공급한다. 해외 주가지수 관련 ETF의 경우 지수의 2배, 3배를 반영해 고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 다양하다. 반면 국내에서는 그동안 이런 상품 출시를 규제해왔다.
임재준 본부장은 “고수익을 추구하는 수요가 지속 커지다보니 해외 개별종목 주식을 직접 거래하거나 해외 투자상품에 참여하는 사례가 늘었다”며 “고수익을 원하는 방향으로 시장 분위기가 변하고 있어 정부와 협의해 고수익 ETF 등의 상품을 국내에도 출시하는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리츠 상품을 지속 확대하는 등 정기적 수익을 제공하는 실물자산 상품과 인컴형 상품을 확대해 안정적인 투자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상장지수채권(ETN), 주식워런트증권(ELW) 등 일반 투자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구조화증권 상품은 알기 쉽게 유형별로 재편한다. 예를 들어 '투자형' '원금일부옵션형' 등 이름만 들어도 쉽게 상품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끔 개선할 계획이다.
지배구조(G) 공시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ESG위원회를 신설할 예정이다. 최근 ESG전담팀도 꾸렸다.
임 본부장은 “환경(E), 사회(S) 정보 개념과 공개 필요성 등의 방향을 기업에 제시해 나가려고 한다”며 “투자자에게도 ESG 활동이 우수한 기업에 투자하면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등 전반적으로 ESG 인식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앞서 거래소는 지난해부터 자산총액이 2조원 이상 상장사를 대상으로 지배구조 공시를 의무화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