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진입 요건 '실적'에서 '시총' 중심으로 바뀐다

미래 성장성 반영...진입 부담 낮춰
전문평가 신뢰 높여 특례상장 활성화
임상시험 관련 공시 가이드라인 제공
시장조성자 대상 종목 갑절로 확대

코스닥 진입 요건 '실적'에서 '시총' 중심으로 바뀐다

올해 코스닥시장 기업 상장 진입 요건이 '실적' 위주에서 '시가총액' 중심으로 바뀐다. 미래성장성이 높은 우수기업이 코스닥시장에 빠르게 상장할 수 있도록 부담을 낮추기 위한 방안이다. 특례상장 활성화를 위해 전문평가제도의 신뢰성도 높인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올해 중점 추진사업 계획을 12일 발표했다.

코스닥시장본부는 우선 미래 성장성이 큰 기업이 코스닥시장에 진입하는 부담이 줄어들 수 있도록 진입 요건을 시가총액별로 구분할 방침이다. 시장평가가 미래 성장성을 반영하는 만큼 실적위주 진입 요건에서 탈피한다.

현재 진입 요건은 일반기업, 이익미실현기업, 기술성장기업 등 11개 유형으로 세분화돼있으나 과거 실적 위주로 구성됐다. 올해부터 이를 시가총액 중심으로 단순화한다.

또 코스닥에 상장했거나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 중 상당수가 세계적으로 앞선 기술을 보유한 곳이 많다는 점을 고려해 특례상장제도도 개편한다. 코스닥을 '글로벌 초일류 기술주 시장'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이다.

전문평가기관 간 균등성을 높이고 기업과 업종 특성을 감안해 객관적으로 기술 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항목을 개선한다. 예를 들어 경쟁업체 대비 기술경쟁력 등을 구체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인공지능(AI), 융·복합 등 새로운 산업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어 이 분야 혁신기업을 심사하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벤처캐피털(VC), 투자은행(IB)과 협업해 심사 핵심내용을 도출하고 기준을 개선하는 작업도 추진한다.

지난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임상시험 관련 이슈가 다수 제기됨에 따라 올해는 관련 공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투자자 보호에 고삐를 쥔다.

임상시험, 품목허가 등의 실패 가능성, 기술이전계약의 조건 미성취 가능성 등 투자위험 요소를 투자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공시 본문에 기재할 방침이다. 또 중요공시 양식을 표준화한 모범공시양식을 법인에 제공할 예정이다.

이 외에 지난해 시장조성자 제도를 3년 만에 시작한 후 올해 대상 종목을 2배 이상 확대한다. 지난해 시장조성자 제도를 시행한 후 75개 종목이 일평균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증가했고 체결주기도 줄어드는 등 양적 질적으로 지표가 개선됐다고 봤다.

올해 거래소는 지난해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 에스지증권 등 4개사에 불과했던 시장조성자를 올해 한화투자증권, 부국증권, 신영증권, CLSA를 추가해 총 8개사로 확대한다. 종목은 지난해 75개에서 올해 173개로 늘린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지난해 신산업 기업 중심으로 상장 방식을 다변화한 결과 기술특례상장기업이 역대 최다인 22개를 기록했다”며 “전체 기관·외국인 거래비중은 15.8%로 코스닥 개장 이후 최대”라고 설명했다.

표.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2020년 주요 추진사업 (자료=한국거래소)

코스닥 진입 요건 '실적'에서 '시총' 중심으로 바뀐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