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도로지도 구축 통합 시스템 부재...자율주행 안전 위협"

"정밀도로지도 구축 통합 시스템 부재...자율주행 안전 위협"

자율주행 시대를 앞두고 정밀도로지도 구축 통합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도로 관리자와 공간정보 제작자 간 협조 체계 부재로 정밀도로지도 갱신이 느려 자율주행차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진단이다.

윤서연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온라인으로 진행한 '국토연구원 지역 디지털 뉴딜 세미나'에서 “개별 기술 개발, 데이터 시스템 마련이 아니라 하나의 시스템으로 충전 인프라, 도로 인프라, 데이터 갱신 및 순환 체계, 도로관리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밀도로지도는 디지털 카메라, 3차원 레이저 시스템(LiDAR·라이다), 위성항법장치(GPS), 주행거리센서(DMI) 등이 결합된 이동 지도제작 시스템(MMS)을 활용해 제작한다. 각종 센서와 함께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정부는 현재까지 국토지리정보원을 통해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약 6700㎞ 규모의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했다. 2022년까지 일반도로를 포함한 2만1000㎞를, 2025년까지 4차로 이상 지방도와 군도를 추가한 3만3000㎞로 확대할 계획이다.

문제는 도로 상태가 계속 바뀐다는 점이다. 운전자 개입이 크게 줄어드는 자율주행 4단계부터는 치명적이다. 도로 관리자가 변경되는 구간을 공간정보 제작자에 알려준다면 도로 변화와 정밀도로지도 반영 시차를 줄일 수 있지만 제대로 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윤 연구위원은 정밀도로지도 구축 통합 시스템을 마련하고, 도로를 건설하고 유지·보수하는 국토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하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그리고 완성차 업체와 경찰청 등이 변경되는 정보를 즉각적으로 공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윤 연구위원은 “자율주행자동차법은 도로관리청은 관할 구역에서 도로노선의 변경 등 정밀도로지도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국토교통부에 알려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아직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도로관리업무와 데이터 관리가 권역별로 분절돼 있어 현재로선 협조체계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며 “이 부분이 개선돼야 자율주행 도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자율주행차는 빠르게 갱신된 정밀도로지도 데이터를 받아 사용하고, 역으로 자율주행차 센서가 수집하는 도로·교통 현황 정보를 공공기관이 쓸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공공-민간 데이터 순환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