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국민대, 동아대, 부산대, 한양대, 연세대 등 10개 대학 11개 과정을 '녹색 융합기술 특성화대학원'으로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8~9월에 공모를 통해 사업 신청서를 제출한 대학 중에서 올해 10월부터 두 달간 열린 분야별 평가위원회를 거쳐 선정했다.
분야별로는 생물소재 분야에 국민대, 동아대, 녹색복원 분야 동아대, 부산대, 상명대 등이 뽑혔다. 또 탈 플라스틱 분야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한양대, 녹색금융 분야 연세대, 인하대, 한국과학기술원 등이 선정됐다.
환경산업기술원은 선정된 대학과 서면으로 협약을 체결하고, 정부지원금을 지원한다. 녹색금융 분야는 대학별로 3년간 총 15억원, 나머지 분야는 대학별로 3년간 총 30억원 안팎 지원한다.
'녹색 융합기술 특성화대학원' 4대 분야는 생물소재, 녹색복원, 탈 플라스틱, 녹색금융으로 구성됐으며, 그린뉴딜을 선도하고 기후위기 등 환경현안 해결이 요구되는 미래산업의 핵심 분야다.
생물소재 분야는 생물 유래 소재의 발굴·추출, 합성·분석, 생체의 해부·행동 특성 평가를 통해 모방기술 및 양산 전반에 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과정이다.
녹색복원 분야는 오염저감과 지속가능성, 환경ㆍ인체 위해성 최소화를 위해 효율적으로 적용가능한 기술 또는 설계·시공 등을 포괄하는 녹색복원기술 전문인력 양성 과정이다.
탈 플라스틱 분야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 개발 및 재활용 기술, 환경오염 및 인체ㆍ생태 위해성 평가기술과 처리ㆍ분해기술 전반에 관한 실천적 이론 적용 및 연구개발을 다룬다.
녹색금융 분야는 자원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을 개선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생산에 자금을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을 지원하는 활동에 관한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각 대학은 환경공학 등 1개 이상의 학과 융합 학위과정 또는 트랙과정을 바탕으로 관련 산업체와 연계하여 맞춤형 석·박사 학위과정을 운영한다. 올해 11월부터 학생을 모집하고 내년 3월부터 사업계획에 따라 대학원을 운영한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https://img.etnews.com/photonews/2011/1359160_20201125142704_936_0001.jpg)
홍정기 차관은 “녹색융합기술분야 맞춤형 전문인력을 양성해 유망 환경기업에 취업하고, 이들이 우리나라 환경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선순환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