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15년 간 전력수요 전망과 전력설비 확충 계획을 담은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정부안을 확정했다. 지난 5월 제시된 초안보다 총 발전설비가 1.8GW 줄어든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량 비중은 확대했다. 정부 '그린뉴딜' 정책 기조를 반영해 수요관리 정책을 강화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빠르게 확대할 계획이다.
15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을 공개했다. 계획안은 올해부터 2034년까지 중장기 전력수요 전망과 설비 확충 계획을 담았다.
계획안에서 2034년 원전·석탄·신재생·LNG 발전 설비 비중은 185.3GW다. 지난 5월 9차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이 제시한 초안의 발전설비(2034년 187.1GW)와 비교해 1.8GW 감소했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정부안에서는 2034년 최대 전력수요를 102.5GW로, 최대 전력수요 연평균 증가율을 1.0%로 전망했다. 워킹그룹 초안과 비교하면 2034년 최대 전력수요 예상치가 1.7GW 낮아졌다.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상황 악화와 고효율기기 보급 확대 등 강화된 수요 관리수단이 이행되는 점을 반영했다.
이에 따라 기저발전인 원전과 석탄발전 설비 규모는 초안과 변동이 없지만 신재생에너지와 LNG 설비 규모는 오히려 감소했다.
정부안에 따르면 발전설비 전원믹스는 올해 △원전(23.3GW) △신재생에너지(20.1GW) △석탄 (35.8GW) △LNG(41.3GW)에서 2034년 △원전(19.4GW) △신재생에너지(77.8GW) △석탄(29.0GW) △LNG(59.1GW)로 바뀐다.
초안에서는 2034년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규모는 78.1GW, LNG가 60.6GW로 정부안보다 적었다. 석탄과 원전은 정부안과 같다.
이에 따라 원전은 2024년 26기를 운영하는 것을 정점으로 2034년에는 17기로 줄어든다. 신재생에너지는 3차 에너지기본계획·그린뉴딜 등 정책 목표를 반영해 4배 가까이 확대된다. 석탄은 가동 후 30년을 맞는 30기를 폐지하고, 7기는 신규 준공한다. 폐지 석탄 30기 중 24기는 LNG로 전환한다.
정부는 석탄발전 상한 제약으로 석탄 발전량은 줄인다. 또 재생에너지 3020보다 신재생에너지보급 시기를 앞당긴다. 전체 발전설비 규모는 줄지만 신재생에너지·LNG 발전량 비중은 높인다. 2030년 발전원별 발전 비중 전망치는 석탄 29.9%, 원자력 25.0%, LNG 23.3%, 신재생 20.8%다. 초안보다 석탄 발전량은 줄었고, 원전·LNG·신재생 발전량은 늘었다.
정부는 노후석탄 발전 폐지에 더해 추가 석탄발전량을 제약하면서 2030년 온실가스 배출목표 1억9300만톤(t)을 달성할 계획이다. 그린뉴딜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앞당긴다. 2025년 기준 태양광·풍력 설비 중간 목표치를 42.7GW로 정했다. '재생에너지 3020'에서 제시한 태양광·풍력 누적 목표치 29.9GW 보다 12.8GW 상향했다.
산업부는 지난 5월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이 마련한 초안을 토대로 환경부 전략환경영향평가와 부처 간 협의를 거쳐 이번 안을 수립했다. 이번 안을 바탕으로 오는 24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전력공사 남서울지역본부에서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후 연내 전력정책심의회를 열어 안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정부안 발전량 비중 전망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표>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정부안 발전설비 전원믹스 전망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표>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 발전설비 전원믹스 전망
자료: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