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털(VC) 등 민간 투자 기관이 유망 기업을 발굴해 대규모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하는 투자형R&D가 소재·부품·장비 분야 뿐만 아니라 공공조달시장 참여기업, 전통 제조업 등으로 확산할 전망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부터 도입한 투자형R&D 사업을 확대 시행하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잡고 있다. 이달 중 발표할 기술 벤처·스타트업 복합금융 지원 방안에 관련 내용이 포함되는 것이 유력하다.
투자형R&D는 지난해 처음 도입됐다. 한국벤처투자가 하이테크 기술개발 사업화 펀드라는 이름으로 10개 기업에 매칭자금을 투입했다. 민간 VC가 투자기업을 발굴해 투자하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기술보증기금의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한국벤처투자가 VC가 투자한 방식과 동일한 형태와 조건으로 투자한다.
최대 30억원까지 투자가 가능해 신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기업이 큰 규모의 R&D를 지원할 수 있다. R&D 성과가 우수한 기업에게는 모태펀드가 투자한 지분의 60%까지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도 부여된다.
지난해 도입한 투자형R&D 사업은 3년이내 소진을 목표로 한 165억원 예산 가운데 108억원을 사업 첫해에 매칭했다. 소부장 기업 2개사, 비대면 기업 8개사가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뒀다.
민간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R&D 성과가 단순히 기술개발에 집중되기 보다는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투자형R&D의 인기 요인으로 풀이된다. 또 여타 R&D 지원 방식에 비해 투자형 R&D의 경우 지속적인 기업의 책임이 발생하는 만큼 장기 단위의 R&D 동력 확보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중기부에서는 소부장·비대면 분야 외에도 전통 제조업, 공공조달시장, 정부 R&D 성과 우수기업 등으로 투자 분야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밖에도 연구용역 등을 통해 투자형R&D 도입이 필요한 분야를 추가로 발굴할 계획이다.
투자형R&D 투입에 따른 성과를 높이기 위해 시장성이 낮거나, 공공 성격이 높은 분야에는 콜옵션 부여 한도를 상향하거나 행사가격을 인하하는 등 인센티브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투자형 R&D가 성공적으로 정착·운영될 수 있도록 발전방향을 수립할 것”이라면서 “R&D와 정책자금, 벤처투자 등 제도간 연계가 될 수 있도록 기술 중심 기업에 대한 투자를 늘려가겠다”고 밝혔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