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남동발전이 지난해 1300억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남동발전은 석탄발전 용량요금(CP)이 복합화력 가스터빈 기준으로 책정돼 손해를 보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석탄발전을 대상으로 한 CP 기준을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는 에너지전환에 따른 발전공기업 연료전환 부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18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남동발전은 지난해 당기순손실 1391억원을 기록했다. 발전공기업 5곳 중에서도 가장 실적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남동발전은 2016년 당기순이익 6012억원을 기록했지만 2019년 410억원으로 쪼그라들었고, 지난해에는 1300억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남동발전은 이 같은 손실이 석탄발전 CP 보상율이 낮은 현행 전력시장구조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전력거래시장은 계통한계가격(SMP)으로 변동비만 보전해 주고, 고정비는 CP를 통해 보전한다. 하지만 CP 보전 기준에서 석탄화력은 복합화력 가스터빈 기준 단일 용량요금을 적용해 고정비의 30%만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이 남동발전의 설명이다. 석탄화력 건설비 등이 복합화력 보다 많이 드는 것에도 불구하고 보전율은 낮다.
남동발전은 발전공기업 5곳 중 가장 낮은 발전원가로 전력을 공급했음에도 불구하고 당기순손실 규모는 컸다고 지적했다. 일반적인 경쟁시장이라면 가장 낮은 원가를 기록한 기업이 가장 높은 이윤을 내야하지만, 현행 전력거래 시장에서는 불충분한 원가 보상으로 가장 낮은 이윤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남동발전은 매출원가단가(87.4원/㎾h)보다 낮은 전기판매단가(81.2원/㎾h)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원가도 못 미치는 가격으로 전기를 판매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더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석탄발전 가동중지, 환경정책 이행비용 증가 등으로 과도한 부채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손실을 감수하면서 경영을 하고 있지만 적정한 보상이 없다는 것이다.
남동발전은 올해도 3500억원 적자를 예상했다. 이에 따라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하고 고강도 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하지만 현행 전력체계에서는 화력발전이 친환경발전으로 전환하기 위한 투자 확대가 힘들다고 호소했다.
남동발전 관계자는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투자와 발전소 운영을 위해서는 공정한 원가보상체계를 갖춘 전력시장 제도가 밑바탕이 돼야 한다”면서 “석탄발전을 위한 용량요금을 신설해서 현실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는 석탄발전 상한제를 시행하는 상황에서 석탄발전만을 위한 CP 신설은 어렵다고 답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내년에는 석탄발전 선도시장에서 변동비뿐 아니라 고정비에 대해서도 가격입찰을 시행할 예정”이라면서 “CP를 조정하는 것 자체가 의미 없다”고 밝혔다.
에너지 전문가는 CP는 최소화하되 근본적으로 발전사 연료전환을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석탄발전 가격입찰제를 도입하면 CP를 최소화해 도입해야 한다”면서 “전기차 보조금에만 쓰이는 환경부의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수입을 연료전환에 지원하는 등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