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전자의무기록 도입률↑ 표준화·공유↓

국내 병원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도입률이 90%를 훌쩍 넘었지만 의료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공유와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지원 체계는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보건복지부는 대한의료정보학회, 한국보건의료정보원과 함께 13일 웨비나 형식으로 개최한 '의료정보정책 주제강연회'에서 '2020년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연구책임자 이재호 서울아산병원 정보의학과 교수)는 지난해 11~12월 전국 병원 574개소를 대상으로 △정보화 기반 △정보화 현황 △진료 활용체계 △연구 활용체계 관련 문항을 구성해 정보화 현황과 수준을 심층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지난해 상급종합병원의 평균 정보화 운영비는 28억8000만원, 정보화 투자비는 41억40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의료기관 규모가 작을수록 정보화 관련 비용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정보시스템 중 EMR,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처방전달시스템(OCS) 도입률은 전반적으로 높았다. EMR 도입률을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은 100%,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97.5%, 300병상 미만 종합병원은 94.0%, 병원은 90.5%였다. 상급종합병원은 EMR를 포함한 주요 질료정보시스템 도입률이 100%였다.

국내 병원이 주요 시스템 도입 측면에서는 앞선 모습을 보였으나 실제 데이터 활용과 공유 등에서는 한계도 드러냈다.

표준화 측면에서 병원 내부코드 생성과 국내 표준코드와의 매핑은 진단·약물 용어와 영상·진단검사에서 높으나 간호·증상 용어에서 낮았다. 표준 도입이 어려운 이유는 예산 확보 어려움, 용어·데이터 전송 등 다양한 분야별 표준,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 부족 등의 원인이 꼽혔다.

2020년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인포그래픽
2020년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인포그래픽
2020년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인포그래픽 (자료=보건복지부)
2020년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 인포그래픽 (자료=보건복지부)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컴퓨터 로그인 패스워드 설정,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 및 정기적 업데이트는 실천율이 높았지만 상대적으로 외부 상용 이메일 차단, 개인정보 파일 완전 삭제는 낮았다.

데이터의 일차적 활용을 위한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는 전체 의료기관의 67%에서 제공한다고 나타났다.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을 통해서는 이상검사결과 알림, 세트처방 기능 제공, 특정 진료과 승인이 필요한 투약 처방 알림 등을 많이 사용했다. 환자 포털이나 개인건강기록(PHR)을 통한 환자 편의서비스 제공은 상급종합병원의 온라인 진료예약, 온라인 제증명 신청·발급, 온라인 진료정보 조회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낮게 조사됐다.

의료데이터를 진료 목적 외의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위한 이차적 활용을 위한 규정을 갖춘 경우는 상급종합병원은 97.6%였으나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66.9%로 낮았다.

데이터 공유 및 상호운용을 위한 표준모델 시스템 구축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는 비용 문제, 전문인력 부재 등이 지적된다. 정보 보안을 위한 연구 전용 네트워크 망분리는 상급종합병원의 45.2%,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16.7%에 머물렀다.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기 위한 AI 연구용 데이터 세트 구축은 상급종합병원의 38.1%,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6.7%에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축되는 데이터 세트 종류로는 진단정보, 신체계측정보, 진단검사결과보고서 등 순서로 나타났다.

이강호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된 의료기관 종별 정보화 인프라 차이, 정책적 지원 요인 등을 보건의료정보 표준화,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 의료 인공지능,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스마트병원 등 사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