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활용 보안검색장비 개발·불법 드론 무력화 방안 마련

국토부, 항공보안 기본계획(2022~2026) 수립

인천공항의 안내로봇 <전자신문 DB>
인천공항의 안내로봇 <전자신문 DB>

정부가 향후 5년간 첨단기술을 활용한 보안검색 장비를 개발하고 불법 드론 무력화 방안도 마련한다.

국토교통부는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2022~2026)'을 수립했다고 12일 밝혔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와 공항공사는 2026년까지 총 3013억원을 투입해 항공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이용 중심 보안 검색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26년 데이터기반 항공보안 관리체계가 마련되고 첨단 보안장비 개발·배치로 보안검색 시간이 37초에서 7초로 단축될 전망이다.

4대 전략목표와 31개 세부 실행과제도 마련했다. 우선 예방적 항공보안체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한다. 첨단 통신망으로 연결된 공항, 항공기 등에 대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2025년까지 마련한다. 정부 및 유관기관에 분산돼 있는 항공보안정보 통합, 서면으로 관리되고 있는 감독활동 및 보안사고 현황을 내년까지 디지털화한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종 위협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예방할 수 있는 항공 사이버보안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가칭)한국형 위험평가·관리시스템'을 2026년까지 구축한다.

도심항공교통(UAM) 등 새로운 교통수단 보안검색 환경 조성을 위해 첨단 장비 개발에도 나선다. 인공지능·테라헤르츠(THz)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보안검색장비를 개발하는데 5년간 499억원을 투자한다. 김포·김해 등 주요공항에 드론탐지·추적시스템을 지속 구축하고 불법드론을 무력화하는 방안도 5년내로 마련해 불법드론의 공항 침입에 대응한다.

항공기 탑승 전 보안검색도 편리해진다. 자연스러운 보행 상태에서 보안검색이 완료되는 방식(워크 스루) 장비를 개발해 검색 시간을 37초에서 7초로 단축한다. 또 노트북이나 액체류 등은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도 검색을 할 수 있는 첨단 보안장비를 도입하는데 향후 5년간 1213억원을 투자한다. 환승객과 환적수하물 검색면제, 탑승절차 간소화 등 승객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미국 등 외국 항공당국과 보안수준 상호인정을 확대한다.

김용석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항공보안은 국민의 안전을 위해 타협할 수 없는 중요한 분야”임을 강조하고 “이번 제3차 항공보안 기본계획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항공보안을 선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국가 항공보안체계를 확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