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디지털 인재 양성 '공수표' 안돼

정부가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을 확정했다. 2026년까지 100만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를 이행하기 위한 방안이다. 디지털 대전환으로 대표되는 사회·경제·문화적 변화에 맞춰 국가 인재 양성 전략을 재설계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정부는 규제 혁신, 선도대학 육성, 연구개발 지원, 영재 교육 등 방안을 대거 포함시켰다. 특히 교원확보율만 충족하면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첨단 학과 증원을 허용하고, 5.5년의 '학사·석사·박사 통합' 과정을 신설해서 조기 박사학위 취득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계약학과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확대 등의 새로운 제도도 대거 도입한다.

디지털 교육체제로의 대전환도 추진한다. 모든 교원의 디지털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AI·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혁명, 교육환경 조성, 통합 추진체계 구축 등을 포함시킨 것이 그 일환으로 풀이된다.

이번 방안이 교육 현장에 미칠 파장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정 규모 이상의 학교에 정보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을 배치하고, 민간 전문가가 대학 정규 과정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례 규정 등이 대표적이다. 자칫 현장에 뿌리내리기 어려운 장밋빛 청사진만 광범위하게 열거해 놓은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대한민국의 지속 성장을 위해 디지털 인재가 필요하다는 것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100만 인재 양성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라는 자만은 경계해야 한다. 교육체계의 대전환이 5년 만에 이뤄질리 만무하고, 한때의 유행으로 끝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을 5년 안에 해결하겠다는 구상보다는 '디지털 국가 대전환'을 위한 사회적 논의와 대타협을 시작하는 것이 먼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