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O BIZ+/케이스스터디]수조원대 해양재난, ICT로 막는다

대형 선박 유류오염 사고가 잇따르면서 피해 규모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07년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어업인 피해신고액은 최종 3조원대로 집계됐다. 정부가 유류오염 사고 등 해양수산 재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다. 해양수산부는 최근 지능형 해양수산정보 체계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사업을 착수했다.

최근 유류오염사고 등 해양 재난재해가 잇따라 어민들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정부는 해양 재난재해를 막기 위해 ICT를 접목한 체계 마련에 나섰다.
최근 유류오염사고 등 해양 재난재해가 잇따라 어민들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정부는 해양 재난재해를 막기 위해 ICT를 접목한 체계 마련에 나섰다.

◇개별 시스템으로 재해 신속 대응 불가능

해양수산부가 지능형 해양수산정보 체계 구축을 고민한 것은 지난해 출범 시점부터다. 작년 3월 국토해양부에서 분리, 새로 출범한 해수부는 수산, 어업, 항만, 물류, 선원고용, 해양환경·과학·관광 등 다양한 영역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정보융합이 필수였다.

그러나 해당 업무시스템은 개별적으로 구축돼 있었다. 상호 연동이 이뤄지지 않는다. 지진·해양사고·유류오염·풍수해·적조 등 해양수산 재난이 발생해도 위기 대응이 신속하지 못했다.

해수부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해양 특성상 각종 선박과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 간 실시간 정보공유 체계가 필요했지만 그러한 환경이 갖춰지지 못했다. 전화나 팩스로 정보를 전달하는 실정이어서 신속한 대응은 불가능하다. 해상교통, 조업관리 등이 개별 시스템으로 처리되고 있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재해재난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

◇범정부 해양수산재난 정보공유 체계 갖춰

해수부는 재해재난과 해양사고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있는 프로세스와 인프라를 갖추기로 했다. 예방→대비→대응→복구 과정을 신속히 지원할 수 있는 ‘지능형 해양수산 재난정보 체계’ 구축을 시작했다. 해양수산정보를 기반으로 각 유관기관과 정보를 연계, 공유하고 해상재해재난과 생태관련 정보도 활용하기로 했다.

먼저 ISP로 재해재난 관련 정보가 연계·통합해 쉽게 공유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개선한다. 재난 초기 대응과 확산 방지를 위해 본부와 소속·유관기관 간 정보공유 기능도 정립한다. 빅데이터 분석 기반으로 과학적 재해·재난 예측을 가능하도록 한다.

해양수산 재난관리정보를 통합·분석한 데이터 기반으로 현장에서 실시간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인프라도 갖춘다. 국민은 스마트폰 등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해 재난관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피해 예측과 시뮬레이션 구축으로 신속한 주민대피와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관련법을 개정해 해양수산재난 총괄기관을 지정,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향후 해양수산 재난정보 시스템이 구축되면 국가적 종합대응과 지원체계가 마련될 것”이라며 “범정부적 관련 정보 공동 활용방안도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해양수산 재난정보 체계는 오는 2016년 가동될 전망이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