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이슈분석 결산]SW·콘텐츠·보안

사이버 위협은 끊임없이 지속됐다. 공격자는 더욱 세력을 갖춰 조직적으로 움직였다. 국가안보 위협하는 지능형지속위협(APT)(1월 14일자)에서는 2014년 말 한국수력원자력에서 각종 문서를 유출하고 인터넷에 올려 사이버 심리전을 펼친 공격조직 위험성을 조명했다. 공격자 실체와 방법 등을 집중 조명해 공공기관과 기업에 APT 공격 심각성을 알렸다.

‘보안 3종세트가 없어진 인터넷뱅킹(2월 16일자)’에서는 금융권 자율 보안 체계 시작을 알렸다. 금융권은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이 폐지되고 보안 선택권이 생겼지만 방향을 찾지 못했다. 기존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타사 변화를 주시하는 수동적 행태가 여전하다. 해외 사례 제시로 자율 보안 시대 방향을 점검했다.

이탈리아 해킹팀 홍보물.
이탈리아 해킹팀 홍보물.

정치 이슈로 비화했던 해킹팀 사건도 빼놓을 수 없다. ‘이탈리아 해킹팀 정보유출 후폭풍(7월 16일자)’은 사이버 무기가 무장 해제를 다루며 화제를 일으켰다. 모든 매체가 국정원이 원격감시프로그램(RCS) 구입을 두고 논쟁을 벌이고 있을 때 해킹팀 자료유출이 몰고 온 사이버 공격 세상 변화를 집중 분석했다. 랜섬웨어 피해도 심각했다. ‘내 파일 인질로 잡은 랜섬웨어(11월 17일자)’는 막무가내 복구가 불러올 정보 유출 사고를 조명했다. 악의 화신으로 불리는 랜섬웨어 예방과 조치법도 소개했다.

연초 넥슨이 엔씨소프트 경영권 참여를 공식 선언하며 게임업체를 대표하는 두 기업 간 분쟁이 격화됐다. ‘싸우면서 큰 다기엔…너무 커버린 둘의 불편한 동거(2월 12일자)’에서 엔씨소프트와 넥슨 경영권 분쟁 진행 상황과 뒷배경을 상세히 밝혔다. 중국발 자금 유입 의미를 짚어보고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지속적으로 냈다. ‘게임 계약 7단계 검증에 잔존율 70%, 넘사벽(3월 19일자)’에서 중국 대표 게임·인터넷 업체인 텐센트 검수 과정을 상세히 전했다. 텐센트와 중국 의존도가 높아가는 국내 게임 생태계에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왼쪽)가 지난 2월 방준혁 넷마블게임즈 의장과 지분을 교환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자료:엔씨소프트)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왼쪽)가 지난 2월 방준혁 넷마블게임즈 의장과 지분을 교환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자료:엔씨소프트)

‘노하우와 콘텐츠파워 VS 국민메신저의 힘(7월 8일자)’에서 네이버와 카카오 간 모바일 검색 전쟁을 다뤘다. 두 회사 모두 올해 PC온라인 플랫폼 기반 경쟁력을 모바일로 이식하는 데 전력을 다했다. 공통된 목표를 향한 각기 다른 전략을 소개해 이미 인터넷 시장이 다양해짐을 알렸다. 구글 같은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방지를 위한 ‘구글세 도입 논의’는 ‘조세회피 철폐…박대통령 의지 G20 “국제공조” 화답 (11월 18일자)’에서 다뤘다. 박근혜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에서 “다국적 기업의 벱스(소득이전을 통한 세원 잠식)에 대응한 조세제도 개혁을 적극 지지한다”며 “개도국이 벱스 대응에 동참하도록 우리 경험과 지식을 적극 공유할 것이라고”고 강조했다.

‘학교 나간 정보가 돌아왔다 (8월 20일자)’에서 초중고 소프트웨어(SW) 교육 본격화를 다뤘다. 지난해 초중고교에서 SW과목을 이수하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한 것이 핵심이다. 해외에서 교육과정 개편이 빠르게 진행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정보 관련 교육이 오히려 쇠퇴한 문제를 짚었다. 2018년부터 SW교육이 연차적으로 진행된다.

올해 추석 이후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 시행됐다. 규제로 가로막혔던 공공 클라우드 시장이 빗장을 푼 것이다. ‘기회 잡은 업계 시범사업 눈독 SaaS 분야 노려라 (9월 17일)’에서 법 시행에 따른 업계 전략을 다뤘다. 다국적 기업과 기술협력 공동연구개발 필요성을 지적했다. 로드맵 수준에 불과한 정보보호 대책도 논의했다.

SW산업진흥법 재개정 논의도 다뤘다. ‘승자 없는 공공 SI시장 살리려면 대기업 참여 허용해야(11월11일)’에서 법 개정 뒤에도 생태계 개선 위한 세부노력 없어 불공정한 하도급 관행이 근절되지 못한 점을 지적했다. 대기업 참여가 제한되면서 프로젝트 품질이 낮아진 문제도 제기했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