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신기술과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을 통해 국가 내재 기술력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해 국민경제에 기여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
기업을 뜻하는 영어단어 ‘컴퍼니(Company)’에 사회·구성원과 함께 한다는 의미에서 ‘동료’란 뜻도 함께 포함돼 있는 것도 그 이유 때문이다.
기업은 이런 역할에 충실함으로써, 국가로부터는 기업 활동의 자유를 보장받고 국민들로부터는 사랑을 받는다. 그것이 곧 정부와 국민들이 기업에게 주는 ‘신뢰’다. 신뢰 크기는 무한대가 될 수도, 제로(0)가 될 수도 있다.
신뢰는 기업이 속한 그 사회에 돌려줘야할 가치이자, 경쟁 무대에서 뛸 수 있는 원동력인 셈이다.
국내에도 기업 사회공헌 활동과 약속이 줄을 잇고 있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8·15 경축사에서 기존 ‘동반성장’보다 훨씬 구체화된 개념의 ‘공생발전’ 전략을 천명하면서 기업들의 관련 움직임도 빨라졌다.
기업이 해야 하는 ‘강제 조항’이 아니라, 기업이 ‘자발적으로’ 나설 수 있는 터전을 만들어주겠다는 것이 대통령과 정부 생각이다. 기업도 이 같은 뜻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우리나라는 세계 13위권의 경제강국으로 성장하면서 여러 글로벌기업을 길러냈다.
이제 기업 브랜드는 한국식 이름을 가졌어도 뛰는 무대는 세계 구석구석이다. 국내에서 길러진 명성과 더불어 ‘신뢰’가 무너진다면 세계 어떤 시장의 소비자도 그 기업을 외면하고 말 것이다.
사회공헌이 기업이 속한 사회와 국민들에게 행할 수 있는 가장 값진 투자이자 미래설계인 것은 분명하다.
물론, 기업 신뢰가 사회 공헌을 통해서만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끊임없는 기술·제품 혁신과 서비스 확대도 신뢰를 쌓고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다. 또 소비자(국민·사회)와 신뢰 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서 이뤄지는 기업 간 협력과 거래에서도 신뢰 구축과 실천이 중요하다.
공정 거래, 수평적인 관계 설정 등 기업 활동에서도 신뢰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문형남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교수는 “기업은 이윤추구를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지만, 사회나 소비자를 향해 ‘신뢰’를 얻음으로써 이윤보다 훨씬 더 큰 가치와 힘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진호기자 jho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