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금지했던 일본 영화.음반등 일본대중문화에 대한 수입개방 문제가 정부차원에서 공식 거론돼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공로명주일 대사는 지난 31일 "음성적으로 유입되는 일본 대중 문화를 그대로 방치하기보다 공개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며 영화와 음반등 일본 대중문화의 수용문제를 공식 거론하자 관련업계는 공식 입장 표명이 아니냐는 의하심을 갖고 있다.
3월로예정된 한.일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공대사가 이런 발언을 했다는것은 정부가 이 문제를 기정 사실화하는 동시에 여론파악용으로 해본 것이라는 분석인 것이다.
이문제에 대해 문화체육부는 국민의 정서가 아직 이를 용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개방은 시기상조라는 기존의 입장으로 고수하고 있다.
문화체육부의한 관계자는 "국제화와 개방화가 진전되는 추세에서 더이상 개방불가 방침을 고수하기가 힘들어진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현재일본의 대중문화 가운데 만화영화와 연극은 이미 개방돼 있고 영화, 비디오 음반, TV방송만이 규제돼 있다.
하지만문화상품의 부가가치가 날로 높아지는 상황에서 아시아시장에선 가장 경쟁력이 있는 문화 상품을 갖고 있다는 일본으로선 더 이상 아시아국가들의 대일본 정서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표명해왔다.
우리도일본 대중 문화에 대한 문호개방을 무작정 막을 수만은 없다는 게 당국자들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문제는정작 일본 대중문화가 개방되면 국내 문화산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겠느냐는 점이다.
업계관계자들은 국내산업이 당장 큰 타격을 입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최근 국내 상당수 영화사들이 도에이(동영), 도호 동보 쇼지꾸 송죽 등 일본영화사를 상대로 판권확보전을 벌이고 있다는 말이 나도는 상황이고 보면 미래는 예상할 수 없다.
미국직배영화사들이 국내에 들어와 7년만에 국내영화시장의 70% 이상을 장악했다는 점은 참고할 만하다.
물론긍정적인 면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영화의 경우 미국과 홍콩 일변 도의 판권구매 현상이 일본과 유럽등 수입선 다변화 추세로 나아갈 수 있고국내업자들의 노력 여하에 따라 현재로선 과다한 판권료 수준이 떨어지는 점도 예상할 수 있다.
업계관계자상당수는 일단 정부가 일본의 문화, 예술영화부터 개방하되 스크린 쿼타제와 같은 제한조치를 병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