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환경산업이 새로운 유망품목으로 떠오르면서 대기업들의 참여가 줄을 잇고 있는 가운데 기존전문업체들이 대부분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어 이들을 체계적으로 보호.육성하기 위한 지원책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GR(그린라운드)파고에 대비, 국내제조 업체들의 환경 관련설비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환경처에 등록된 설비업체의 60%이 상이 자본금 5억원미만의 영세업체들로 구성되어 있어 적절한 대책이 수립되지 않을 경우 최근 이 시장 공략을 적극화하고 있는 대기업및 외국 업체들에 게 시장을 내줘 생존권을 위협받는 상황이 초래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집진기.오염측정기를비롯 관련장비생산업체까지 포함할 경우 지난해 9천개 업체가 총 9천억원정도의 매출을 기록했다. 즉 업체평균 연간매출이 1억원수 준에 불과한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고 설비업체들의 경우 3~4단계의 하도급을 거치는 왜곡된 수주형태로 기술축적이나 투자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특히최근 정부가 폐기물처리방식을 기존의 매립형식에서 소각위주로 전환함 에 따라 자본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건설.엔지니어링업체는 물론 전자. 제지.모피업체등 대기업들이 일제히 이 시장 참여를 선언하고 시공실적을 올리기 위한 덤핑수주까지 불사하면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어 전문 기업들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고 있다.
여기에대부분의 신규 참여 대기업들이 초기시장선점을 겨냥, 자체 기술확보 보다는 외국주요업체와의 기술제휴를 통한 영업전략을 앞세우고 있어 전문업체들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책이 뒤따르지 않는한 오는 96년에만 3조원에 이르는 환경관련시장이 외국기업의 대리전장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