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컴퓨터는 점차 소형화.고성능화.지능화를 향해 달리고 있다. 그 외에도 사용자가 쓰기 편리하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람끼리 대화하는 것과 같이 자연어를 통해 글씨를 쓰고 인식할 수 있다면 인간과 컴퓨터의 간격은 훨씬 좁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가 바로 펜컴퓨터다.
개인용컴퓨터는 급속한 보급과 아울러 소형화 추세를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현재의 개인용 컴퓨터는 무게가 약 15kg정도이지만 무릎위에 올려놓을 수있는 랩톱(L-apTop)이나 노트북(Not-ebook), 손바닥에 올려놓을 정도의 크기인 팜톱 (Pal-mTop)으로까지 소형화되었다. 그러나 키보드를 통해 입력 하는이들 컴퓨터에서 키보드의 크기를 줄이게 되면 사용이 매우 불편하므로 키보드나 마우스의 기능을 담당하는 펜의 필요성이 점차 부각되었다.
펜컴퓨터는가볍고 소형이어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독자적으로 사용될수 있지만 무선망을 이용한 네트워킹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펜 컴퓨터는 움직이면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유용하다. 또한 펜컴퓨터는 펜과 종이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기 때문에 컴퓨터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친근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펜컴퓨터에관한 아이디어는 1970년대 초반에 미국 애플컴퓨터사에 근무하는 알린 케이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컴퓨터의 크기나 성능,또 한 자연어 처리 및 문자인식등에 관한 기술이 거의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에 꿈같은 이야기로 여겨졌으나 1990년대에 이르러 많은 사람들의 관심속에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IBM.애플.NCR.GRID.Go.MicroSo-ft등 의 회사에서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펜컴퓨터를응용할 수 있는 분야는 매우 많다. 첫번째 예로는 음식점에서 고객의 주문을 받을 때 메모지 대신에 펜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종업원은 전자펜으로 고객이 주문한 메뉴를 선택한다. 주문이 끝나면 주문내용이 주방 과 계산대에 무선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요리를 준비하는 쪽이나 음식을 주문 하는 고객 모두에게 편리하다. 서울의 일부 음식점에서는 펜컴퓨터는 아니지만 이동식 컴퓨터가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응용으로는 문서편집에 쓰인다. 기존의 컴퓨터는 키보드에 나타나있지 않은 기호나 도형.그림 등을 입력할 경우에 매우 불편하다. 그러나 펜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전자펜으로 원하는 기호나 도형을 컴퓨터 화면의 원하는 위치에 그려 넣어주기만 하면 입력된다.
세번째응용은 작곡자가 작곡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 작곡자는 펜컴퓨터상에 나타나 있는 오선지에 음표를 표시하기만 하면 펜 컴퓨터가 그것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화면에 깨끗하게 나타내 준다. 또한 정정에서도 매우 편리함은 말할 나위도 없다.
최근들어 미국과 일본의 컴퓨터업체들이 펜 컴퓨터 시제품을 각각 발표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성능의 펜 컴퓨터를 개발하려는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국내에서도 과학 기술원 인공지능연구센터를 중심으로한 산학협동으로 펜 컴퓨터에 대한 핵심기술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펜 컴퓨터는 한글은 물론 영어와 한자까지도 인식할 수 있는 문자인식 기술이 선행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과 더불어 하드웨어적으로도 보다 고성능의 소형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음성인식의발전과 펜 컴퓨터의 개발은 인간의 의사를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미래형 컴퓨터 시스템의 탄생을 예고한다. 멀지않은 장래에는 펜과 음성기술을 통합함으로써 특정한 입력방식에서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보다 자연스런 인간과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