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 전산화를 구축한 중소기업의 업체당 평균 컴퓨터 보유대수가 8대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업체가 소프트웨어 구입비로 5백만원 안팎을 사용한 것으로조사됐다. 특히 전산화 대상의 경우 주로 인사와 급여부문의 기초자료 처리에 머물러있는 등 중소기업의 전산화 수준이 걸음마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일 중소기업은행이 종업원수 20명 이상으로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 업 3백4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업무전산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업체들은 업체당 평균 8대의 PC(PC급 이상 0.7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수를 기준으로 보면 *2백명 이상인 업체는 평균 17.7대 *1백명~1백9 9명인 업체는 11.2대 *50명~99명인 업체는 5.5대 *20명~49명인 업체는 3.5 대의 컴퓨터를 각각 보유, 종업원 수가 많을수록 컴퓨터 보유대수도 많은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업체 가운데 소프트웨어 구입비가 5백만원 미만이라고 대답한 업체가전 체의 37.5%에 달했고 5백만원 이상 1천만원 미만을 투자한 업체가 29.9%등 으로 나타났다.
업무전산화 추진동기로는 사무생산성 향상을 지적한 업체가 전체의 64.2%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전산처리요구 증대 (17.2%)와 정보화사회에 대응(11.5 %) 등을 주로 꼽았다.
조사대상 중소기업의 업무전산화 수준을 보면 전체의 71.1%가 각종 수치의 집계 등 기초자료 처리단계에 있다고 대답했고 관리정보 활용단계(27.2%)나 전략정보 이용단계(1.7%)에 있다는 업체의 비중은 극히 낮았다.
전산화의 효과를 묻는 질문에(복수응답가능) 업무처리시간 단축을 지적한 업체가 전체의 80.4%로 가장 많았고 업무처리합리화(65.7%), 생산시스템 효율증대 (10.7%), 인원 절감(8.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현재의 업무전산화 수준에 만족하지 못하고있고 그 이유로는 전문인력 부족 또는 능력부족(51.3%), 소프트웨어의 부적합 (21.8%), 전산화 관심부족(14.1%)등이 주로 거론됐다. <김종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