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6년 미포드자동차는 세이블과 토러스라는 승용차를 등장시켜 시장에서 크게 히트시킨 일화가 있다. 포드는 이에 힘입어 숙적인 GM사보다 순이익면 에서 앞서는 등 두드러진 약진세를 보였다. 포드의 당시 이들 신제품은 엔진 등 주요부분의 기술면에서 GM등 경쟁사들보다 열세였었다. 단지 디자인에서 고급화를 꾀했을 뿐이라고 한다. ▼국내전자업계는 최근들어 수출시장에서 저가제품의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중.고가품의 제품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여기에는첨단기술을 적용한 제품도 포함된다. 이를 위해 막대한 연구개발비 를 투입하고 해외 우수연구인력을 충원하는 등 연구개발력의 제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술력의 향상만이 세계전자시장에서 살아남는 길이라는 것을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개발에 정진해온 결과 국산가전제품의 성능 과 기능은 이제 외국산에 뒤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그러나 일제와 외관디자인을 비교해보면 어딘가 촌스럽다는 인상을 받는다. 특히 컴퓨터나 캠코더 등의 하이테크제품에서는 더욱 그렇다. 연구개발에 기울이는 정성을 디자인 개발에 똑같이 쏟아붓지 않기 때문이다. ▼상품이 소비자로부터 높은평가를 받기 위해 우수한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우리 측에서는 엄청나게 많다고 하는 연구개발투자의 규모도 선진국과 비교하면 조족지혈에 불과하다. 선진국과의 대등한 기술경쟁이 어렵다면 우리 고유의우수한 디자인 개발에 눈을 돌려야 하지 않을까. 우리 기업과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대비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