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유통정보화 추진상의 애로사항 상공부에 건의

유통정보업계는 판매시점 정보관리(POS)시스템을 도입한 업체와 도입하지 않은 업체의 세율을 동등하게 적용하는 정부의 조세정책이 POS시스템 도입확대 를 저해하고 있다고 판단, 이를 포함한 각종 저해요소를 유통정보화 촉진 차원에서 해소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16일 관련단체 및 업계에 따르면 유통정보센타 주선으로 유통업계.물류업계.

POS시스템업계.통신업계등 유통정보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유통정보센타 회의실에서 상공자원부 유통산업과 실무자를 만나 유통정보화 추진상의 애로사 항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모임에서 태인유통.축협중앙회 등 유통업체 관계자들과 유한킴벌리 등 물류업체 관계자들은 "POS시스템을 설치하면 모든 매출액이 과표가 됨에도불구하고 POS시스템 도입업체와 미도입업체 사이에 세율차이가 없어 POS시스 템 도입업체들이 상대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POS시스템을 도입한 업체들이 세금을 줄이기 위해 무자료거래를하게 되고 이 때문에 값비싼 POS단말이 금전등록기 수준 밖에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이의 개선을 요구했다.

따라서 이들은 "무자료거래를 근절하고 유통정보시스템을 강화해 유통업계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유통업태별로 POS시스템 도입 여부에 따라 세율을 차등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삼성전자.포스피아 등 국산 POS시스템 개발업체들도 "미국.일본 등과 달리국내 POS시스템시장은 연간 4천여대 수준에 불과해 개발비를 회수하기가 사 실상 어려워 개발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이들은 또 "외국(특히 대만과 싱가포르)의 경우 정부가 금형비의 50%를 보조해 주기 때문에 값싼 저가형 POS단말을 개발하고 있고 이들의 국내 시장진출로 국산 개발업체들도 "울며 겨자먹기"로 가격인하 경쟁에 나서야 하므로 성장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털어놓았다.

따라서 이들은 정부가 국산 POS단말 개발업체를 중심으로 개발비의 일부를지원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이들 유통관련 관계자들은 POS시스템을 운용할 유통인력이 부족하고 전문교육기관이 전무한 실정이라고 설명하고 정부가 유통인력 양성방안을 제시해줄 것도 건의했다. <이균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