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80년대 중반이후 도로.항만등 주요 인프라(사회간접자본)부문의 투자부족으로 산업의 경쟁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산업은행이 내놓은 "세계화시대의 인프라 확충전략"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간 국민총생산(GNP) 대비 인프라투자는 80년대 전반까지는5 % 수준을 유지했으나 80년대 후반에는 3%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87년 현재 우리나라의 GNP 대비 전체 인프라규모는 41.8%로 영국 (1백13.8%)이나 서독(91.4%), 일본(60.3%)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인프라 부족현상은 인구과밀 지역과 산업밀집지역에서 심각하며 특히 수도권과 경부축은 물론 서해안축, 동서축에서도 인프라수요가 계속 늘고 있어 앞으로 부족현상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이 보고서는 제3차 국토개발계획기간인 92년부터 2001년까지 인프라 건설에 들어가는 비용은 91년 불변가격 기준으로 약 99조4천억원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정부의 재정지원은 63조1천억원에 그쳐 나머지 36조3천억원의 재원은 민간자본으로 충당해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종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