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을 중심으로 자산부채관리시스템(의ALM) 도입이 확산 추세를 보이고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이 금리변동 리스크와 유동성 리스크를계량적으로 파악하고 리스크와 수익의 최적 균형을 실현하기위해 경쟁적으로자산부채관리시스템을 도입, 운용하고 있다.
이처럼 자산부채관리시스템의 도입이 활기를 띠면서 국민데이타시스템.한국 유니시스.대신정보통신.삼성데이타시스템 등 ALM시스템 공급업체들의 시장 쟁탈전 역시 치열해지고 있다.
국민은행과 광주은행이 국민데이타시스템으로부터 ALM시스템인 "KOBAS"를 도입 운용중인데 이어 강원은행과 축협중앙회가 역시 국민데이타 시스템으로 부터 ALM시스템을 도입, 정보계 업무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 신탁은행이 최근 한국유니시스로부터 ALM시스템인 "티플러 ALM"을 도입, 본격 운용에 들어갔으며 주택은행이 대신정보통신으로부터 ALM시스템을 도입 운용중이다.
이밖에도 조흥은행.산업은행 등이 ALM시스템을 도입하는등 최근들어 금융권 에 ALM의 도입이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장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