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정보고속도로 구축구상은 현재 전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있다. 미국 정보고속도로의 구체적인 실체는 NII(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 cture) 계획서로 나타났다. 이 계획서는 서두에 "국제경쟁시대에서 정보를만들고 다루는 기술은 미국을 위해 전략적인 중요성을 가진다"고, 말미에는"미 국의 운명은 정보인프라와 직결돼 있다"고 각각 밝히고 있다. 정보인프라의 구축"은 멀티미디어시대의 도래에 적극 대응하는 것일 뿐 아니라 세계기 술패권주의에 낙오되지 않는 길로 여겨지고 있다. 그 영향을 받아 일본을 비롯해 유럽의 선진국들은 정보통신의 기반정비를 서두르고 있다. 중국을비롯 해 싱가포르.태국 등의 동남아 신흥공업국들까지도 광섬유망의 구축을비롯해 정보산업의 육성을 주창하고 나섰다. ▼우리나라도 지난 93년 체신부(현 정보통신부 가 중심이 돼 21세기에 대비한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종합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오는 2015년까지 전국의 가정과 기업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 하는 초고속 대용량 정보통신망을 구축하겠다는 것으로 선진국과 대등한 정 보인프라를 갖겠다는 의지이다. ▼그러나 우리의 정보화수준은 어느정도인가. 한국전산원이 최근 발표한 정보이용지표는 지난 92년말 기준으로미국의35% 일본의 36%에 그치고 있다. 이같은 수준으로는 초고속정보통신망 등 정보인프라의 구축에 투자를 하더라도 그 이용측면에서 발전을 지속할 수 있을지 의문시된다. 정보화마인드 확산에 모두 깊은 관심을 가져야만한다.